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사람 모두 결혼기념일 같은 행사에 그렇게 신경을 쓰는 편이 아니었지만 그래도 20이라는
숫자
는 무시하기 힘들었다. 십진법의 힘이었다.20년이라니. 참 오래도 같이 살아왔다. 다른 친구들보다 일찍 결혼한 윤정은 몇 년 더 일찍 할머니가 된 기분이었다. 쌍둥이 형제는 내년이면 고등학교를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행렬로 표현하는 것이다. 하나의 네모 칸 하나하나를 색깔을 나타내는 0에서 255까지의
숫자
로 나타낸다. 인공지능 알파고도 바둑판 이미지를 행렬로 표현해 인식한다. 빅데이터의 빛과 어둠빅데이터가 만드는 장밋빛 미래하루도 빠짐없이 보도되는 수많은 범죄 뉴스는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되더라고요. 그런데 사각형의 길이를 그냥 아무
숫자
로 하면 재미가 없잖아요. 등차수열,★ 피보나치 수열 등 다양한 수열을 이용해서 나타냈죠. 그랬더니 피보나치 수열로 했을 때 가장 아름다운 작품이 완성됐어요.”그런데 잠깐, 애초에 예술가가 위상수학 ... ...
[과학뉴스] 불의 고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둘러싸고 있어 불의 ‘고리’라고 부릅니다. 길이만 4만km가 넘고, 인접한 화산의
숫자
는 450개에 이릅니다. 우리나라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하지만 불의 고리에서 일어나는 지진들이 모두 서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 발생한 두 지진도 원인과 종류가 달랐습니다. 일본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숙련된 지원인력이 도맡는다. 완벽히 분업화가 돼 있는 셈이다. 식당B는 전체 직원
숫자
가 식당A보다 적지만 맛집으로 유명하다. 요리사들도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구조다.비유가 과장 같겠지만 과학계의 현실과 비슷하다. 서울대 자연대는 2001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인 팀 헌트 교수 등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같은 역할을 하는 논리게이트와 유전자 부품은 같은 색으로 표현했다. 유전자회로 아래
숫자
1은 발현을, 0은 억제를 의미한다. 보라색 NOR게이트는 입력 값이 모두 0일 때만 1을 출력한다. 보라색 유전자 역시 노란색과 파란색 유전자 부품의 발현이 모두 억제(0)돼야 발현될 수 있다. 입력 값 A가 발현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주위에 보이는 모든
숫자
가 사랑스러워 보이고, 자꾸 눈길이 갔지요. 그래서 어릴 때
숫자
를 조합하는 놀이를 많이 했어요.이렇게 수학을 좋아했으면 수학자를 꿈꿨을 것 같은데…, 어땠나요?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꿈이 수학자 아니면 과학자였어요. 그런데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이 생기면서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이야기도 있다. 마치 한국에서 한자로 四(넉 사)와 死(죽을 사)자가 동음이의어라
숫자
4를 좋아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나라 건물에서 4층 버튼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종종 볼 수 있듯이 서양에는 13층 버튼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13일의 금요일’은 특별한 날일까?정말 ‘13일의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쓰인 수학 점토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
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섬입니다. 이 숲은 살아있는 것이 아니고요. 그저 단백질 기계일 뿐이지요. 이 숲의 나무
숫자
를 맞춰볼까요? 이천여 그루 정도일 거예요. 중간에 실패하거나 포기한 개체도 있을 수 있겠지만요.기억하세요? K박사의 연구가 알려진 뒤 가장 많이 제기된 반론은 1차 소화 흡수가 끝난 것을 재섭취한다고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