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숫자가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반면 아이들을 가르칠 고등교육을 받은 선생님의 숫자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요. 특히 과학과 수학 같은 이공계 과목 교사가 부족합니다. 캄보디아에서 그런 고등교육을 할 수 있는 곳은 프놈펜왕립대가 거의 유일하다시피 합니다. 때문에 많은 프놈펜왕립대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난포가 부풀어 올라 터지면서 배출된다. 이 흔적을 황체라고 한다. 이 연구사는 “황체의 숫자를 세면 배란된 난자의 수도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하곤, 다시 수술실을 향해 외쳤다. “난자 네 개 나왔습니다!” 연구원들은 재빠른 손놀림으로 절개 부위를 봉합했다. 난자 공여견의 역할은 이것으로 ... ...
- 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난 ‘095021’이라고 해. 내 이름이 왜 숫자로 돼 있냐고? 왜냐하면 나는 대형병원의 실험동물이거든. 귀를 보면 이름이 잉크로 적혀 있단다. 그런데 실험동물이 뭐냐고? 지금부터 실험동물들의 이야기를 들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실험동물 입양 프로젝트Part 1. 사람과 과학을 위한 ...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긴 막대기를 이용하거나 바닥에 상자를 쌓아 올리기도 해요.특히 단기기억력이 좋아서 숫자 순서 맞추기 퍼즐은 대학생보다 빨리 풀기도 했어요.닥터 그랜마 : 너희도 친구끼리 서로를 믿고 있니?침팬지 : 위험한 자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서로를 믿는 것이 무척 중요해요. 하지만 이건 생각보다 ...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무작위로 1억 번쯤 돌리면 모든 수가 나올 확률이 비슷해지지만, 10번 정도만 돌리면 숫자 1만 나올 수도 있다.확률이 기댓값과 일치하려면 무한히 시행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통 사람이 게임을 한다고 하면 시행횟수는 기껏해야 수십 번에서 수백 번이다. 실제 시행횟수가 확률 분포를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아닌 것이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p의 크기를 키워가며 이 소수가 되는 숫자들을 찾던 메르센은 p가 2, 3, 5, 7, 13, 17, 19, 31, 67, 127, 257일 때만 소수라고 발표한다.나중에는 이것 또한 틀린 것으로 결론이 났다. 1903년에는 p가 67, 1931년에는 p가 257일 때 이 소수가 아닌 것이 밝 ...
- [재미] 파이송 작곡 도전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도음인 ‘미’라면 미를 사용하는 코드들을 다양하게 쓸 수 있게 된다. 새로운 방법은 각 숫자당 하나의 코드만 선택할 수 있던 이전 방법보다 코드를 다채롭게 쓸 수 있어 음악적인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은 기자는 신이 나서 작업을 진행해 나갔다. 5일 동안 열심히 작업한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초등_소수의 나눗셈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있기 때문이지요.소수는 분수를 위치적 기수법으로 표기한 것입니다. 위치적 기수법이란 숫자가 놓인 위치에 따라 자릿값을 바로 알 수 있는 기수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23에서 1은 백의 자리, 2는 십의 자리, 3은 일의 자리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죠. 소수의 나눗셈은 위치적 기수법의 장점을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주기가 약 230이면 230개의 숫자는 무작위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230개, 적어도 10억 개의 숫자가 나타난 뒤 반복되는 것이니, 난수로 쓸 만하지 않을까?이 알고리즘은 단점이 있지만 계산 속도가 충분히 빨라서 정교한 수준의 난수가 필요하지 않는 분야에서 많이 쓰인다. 현재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판단했어요. 지금은 더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통계학적 기법을 써요. 생물의 특징을 숫자로 나타내 컴퓨터에 입력하고, 그 결과로 유연관계가 얼마나 가까운지를 수치로 판단할 수 있답니다.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가난이나 질병 때문에 유아의 사망률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자식을 많이 낳아 ... ...
이전8687888990919293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