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움직이는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화면 좌우에는 이제 자연스럽게 해석할 수 있는 문자와 숫자가 흐르고 있었다. 유형지 네트워크가 닿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똑같은 영상을 보고 있을 터였다. 윤환은 이어지는 내용을 아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눈을 감았다. 진양의 목소리가 들렸다.“그렇지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8의 진동은 한반도 전체를 흔들었다. 경주와 부산에서는 진도6, 즉 집이 흔들리고 집안 가구가 움직이는 진동이 느껴졌다. 서울에서도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은 역시나 수학이다. 노트북 화면에 네모 칸 3개가 떠 있고, 그 안에 1, 2, 3, 4 네 개의 숫자가 차례로 돌아가며 바뀌고 있었다.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해야 하는 수학특성화중학교 입학생은 원하는 방에서 생활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원하는 방이 나올 때까지 풀어야 한다. 이 문제를 풀지 ... ...
- [재미] 10화 거북과 달리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토끼 귀가 튀어나오고 있었다. 단은 고개를 좌우로 저으며 혼자 중얼거렸다.“음…, 숫자가 커질수록 이웃한 두 항의 비율이 황금비에 다가간다고 했지. 55를 34로 나누면 1.6176…, 소수점 넷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618! 이웃한 두 항의 비율이 황금비다!”피보나치의 구토가 멈췄다. 그리고 땅이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위장에서 일차적으로 죽고, 나머지는 면역력으로 이겨내기 때문에 사망률 50%는 과장된 숫자입니다. 하지만 제산제를 장기간 먹었거나, 위 수술을 받아서 위산 분비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과 장염 비브리오균도 있는데요. 패혈증균은 치사율이 50%가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단위로 그 크기를 나타내요. 트는 V로 표시하지요. 전지를 보면 1.2V, 1.5V, 9V 등 다양한 숫자가 적혀 있어요. 볼트가 높은 전지일수록 전구를 더 밝게 밝힐 수 있답니다.전자는 정해진 통로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어요. 흔히 우리가 ‘전선’이라고 부르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통로지요. 전선 안에는 ... ...
- 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적당히 곱하면 1827이 되는 두 수를 만들 수 있거든. 1827=21×87을 봐. 이제 우리가 주는 숫자가 뱀파이어 수인 걸 증명해 봐. 틀리면 당신의 목을 물어버릴 테니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악마를 찾아 나선 수학 천사PART 1. 악마가 좋아하는 소수는?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Part 3. 천사,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범위는 단지 인간이 연산할 대상에 부여해놓은 제약에 불과하다. 제약을 넘어 새로운 숫자를 찾아내면, 존재하지 않음은 존재함으로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數談)’을 간추려봤다.김상연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알파벳과 특수문자, 숫자를 조합한 복잡한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추세다. 근데 이게 너무 복잡하다. 혹시 간단한 비밀번호만으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암호나 방어벽을 만들 수는 없을까.한상근 그런 방법은 없다. ... ...
-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알겠지만 3월 14일은 π-데이로,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피에르 자르투가 원주율의 첫 세 숫자를 따서 만들었어요. 1987년 물리학자 래리 쇼가 미국 샌프란시스코 과학관에서 π-데이 행사를 시작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됐어요.7월 22일은 ‘π 근삿값의 날’이에요. π와 가장 가까운 분수가 22/7=약 ... ...
이전8081828384858687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