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균"(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집합체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굳기 65, 비중 335 ~ 345이다 1870~1940 러시아 출신의 프랑스 세균학자 오데사에서 출생했다 1897년 파리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파리 의 파스퇴르 연구소에 들어가 메치니코프 밑에서 연구했다 단주상(短柱狀), 추상(錐狀), 두꺼운 판상(板狀), 등립상(等粒狀), 8면체 등의 결정이 ... ...
- 뇌의 '신호전달 접속장치'가 고장날 때과학동아 l2002년 12호
- 만든 아세테이트섬유를 간단히 아세테이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혐기성(嫌氣性) 세균인 클로스트리디움속(屬)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 아세토부틸리쿰(C acetobutylicum) 등에 의해 당질에서 부탄올 · 아세톤 등을 생성하는 발효 유기용제(有機溶劑) 중독의 하나 아세톤은 끓는점이 낮은 대표적인 ...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생명체의 진화를 밝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인포매틱스 방법으로 바이러스, 세균 등 여러 생명체의 게놈서열울 분석·비교해 진화적인 유연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중이다.|EST(Expressed Sequence Tag)|DNA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영양분이 풍부한 김치를 먹을 날이 조만간 도래할 것같다. 김치의 맛을 좋게 하고 유해한 세균을 죽이는 김치 유산균(루코노스톡 김치아이)의 게놈지도 초안이 최근 완성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서울대 미생물연구소는 마이크로비아와 공동으로 루코노스톡 김치 아이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99% ...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에너지를 얻는다이 반응에 참여하는 효소가 산화환원효소이다살모넬라균속(菌屬)의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의 총칭 장티프스와 비슷한 증세의 패혈증형(敗血症型)과 식중독형인 급성 위장염형으로 크게 나눈다 봄철 북쪽 하늘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과학동아 l2002년 12호
- 소파나 세제, 김치냉장고, 공기청정기, 터널 내부 등에 광촉매를 코팅해 오염물질과 나쁜 세균을 없애는데 널리 쓰이고 있다. 또한 광촉매는 물과 매우 잘 결합하는 성질을 갖는다. 차 유리에 광촉매를 코팅하면 비가 올 때 빗방울이 고루 퍼져 시야를 좋게 하며, 나중에 햇빛을 받으면 빗물에 묻어 온 ...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수 있다면 상처를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유전자조작으로 세균이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을 분비한다면 상처 난 피부 부위를 따라가면서 재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과학동아 l2002년 11호
- 117, 연화점(軟化點) 80~100℃, 굴절률 148~150이며, 광선투과율이 90~99%로 매우 높다메탄세균에 의해 메탄을 생성하는 발효법 무산소성소화법(無酸素性消化法)이라고도 한다폐수 속의 유기물은 무산소적 조건하에서 산(酸) 생성균에 의해 유기산 · 알코올 · 알데히드로 분해되고, 다시 메탄 생성균에 ...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과학동아 l2002년 11호
- 지난 1991년 1월 코소보의 라차크 마을에서 알바니아인 40명 이상이 살해된 사건은 세르비아 경찰에 의한 대학살로 전해져 왔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당 ... W 트워트가 발견했다그와는 별도로 1917년에 프랑스의 데렐이 발견하여 명명했다현재는 거의 모든 세균에 대응하는 박테리오파지가 ... ...
- 2002 화학상 - 생체분자 분석하는 획기적 방법 개발과학동아 l2002년 11호
- 노동자와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단백질이 만들어지냐에 따라 세균에서부터 식물, 인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생명체가 결정된다. 또한 같은 인간이더라도 단백질의 생김새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과 기질을 갖게 된다. 물론 어떤 단백질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정보는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