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4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어떻게 개발되나
2015.03.20
경우 환자의 골수를 20mL가량 뽑아낸 뒤 여기서 중배엽줄기세포를 소량 추출해 두 차례
배양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줄기세포는 치료제로 사용할 만큼 충분한 양인 100만 배 정도로 불어나고, 환자의 관상동맥에 이 치료제를 투입하면 된다. 김 대표는 “체내에 들어온 줄기세포가 호르몬 등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나노 다공성(Nano-porous), 탈부착 용이성(Transferable)의 영문 앞글자를 딴 이름이다. 세포를
배양
할 때 세포와 세포 사이에 놓이는 기존 막은 그 두께가 1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로 두껍고 기공의 개수가 작아 암세포와 정상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물질교환을 알아내기 힘들었다. 반면 TNT ... ...
반도체 칩에 인간 심장세포 넣은 바이오칩 개발
2015.03.10
심장세포 바이오칩을 기반으로 다양한 인체 장기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힐리 교수는 “이 바이오칩이 궁극적으로 동물실험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평균 50억 달러(약 5조5500억 원)가 들어가는 신약개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서로 다른 줄기세포주에서 확립된 배아줄기세포가 사용됐으며, 이들 배아줄기세포가
배양
중이던 세포에 의도적으로 섞인 정황이 발견됐다. 또 논문에서 배아줄기세포와 STAP 세포가 이름이 뒤바뀐 채 기재된 사실도 확인됐다. 이는 네이처가 오보카타 박사의 논문을 철회하는 데 결정적인 이유로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연구진은 건강한 쥐와 심부전증이 있는 쥐의 심장 세포를 시험접시에 따로 떼어
배양
했다. 이 시험접시에 BDNF 단백질을 넣어 주자 정상세포들은 적극적으로 수축-이완운동을 했다. 반면 심부전증이 있는 쥐에게서 떼어낸 세포는 아무리 많은 BDNF를 넣어 줘도 전혀 반응하지 않거나 약하게 ... ...
겨울철 감기 더 잘 걸리는 이유가, 코 때문?
2015.01.07
체온과 유사한 온도인 37도와 겨울철 콧속의 온도와 비슷한 33도(실내에 있을 때)에서
배양
하며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관찰했다. 관찰 결과, 바이러스 침입에 대항하기 위한 1차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화학물질인 인터페론의 양이 온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33도일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수 있었던 각막도 폴리머 소재로 만든다. 최근엔 줄기세포 기술을 이용해 인공각막
배양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전한 안과 기술도 눈에서 들어온 빛을 신경회로로 바꿔주는 망막 자체에 문제가 생기면 대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망막변성이나 망막박리, 망막색소변성증 등 많은 ... ...
생식세포는 안 되고 체세포로만 분화하는 줄기세포
2014.12.24
하지만 준만능줄기세포는 배반포와 섞이지 않아 앞에 ‘준’이라는 말을 붙인다. 둘은
배양
할 때도 서로 다른 물질이 섞인 배지에서 키워야 모든 세포로 분화하는 만능성을 유지한다. 연구진은 배반엽 상피세포에서 얻은 준만능줄기세포를 특정 물질을 넣은 배지에서 키우는 방식으로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들었다. 이 밖에 췌장에서 인슐린을 만드는 ‘베타셀’을 연구실에서 인위적으로
배양
해 당뇨병 치료에 활용하려는 연구와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흥분 또는 억제시키는 방식으로 기억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 등이 올해의 주요 연구 성과로 소개됐다. ... ...
2014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2014.12.14
미국 하버드대 의대 공동 연구진은 치매 환자의 뇌세포를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배양
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로써 치매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11월 13일자에 게재됐다. 3차원으로 분화된 알츠하이머 신경세포 밖에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