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일어났지만 돌연변이 효모가 들어간 쪽은 향이 훨씬 약했다. 예상대로 양쪽에 각각
배양
접시를 둔 뒤 초파리를 풀어주자 초파리들은 정상 효모가 발효시킨 쪽으로 몰려들었다. 효모가 발효과정에서 다양한 향기성분을 만드는 건 널리 퍼지기 위해 곤충을 끌어들이기 위함이라는 사실이 지난해 ... ...
석유 대신 대장균으로 ‘나일론’ 만드는 날 올까
2015.08.11
통해 대장균의 생산량을 21배 이상 증가시키기도 했다. 이 대장균을 이용하면 대장균
배양
액 1리터당 13g의 1,3-다이아미노프로판을 생산할 수 있을 정도다. 이 교수는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여러 제품을 생산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를 통해 1,3-다이아미노프로판 생산 가능성을 세계 ... ...
“배울것 많다” 아우성… ‘임상적 근거’ 바탕으로 학습량 정해야
동아일보
l
2015.08.06
수능을 연계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딜레마다. 과목 간 통합을 통해 고등 사고능력을
배양
하는 것이 교육과정 개정의 목표인데, 객관식 문제 중심인 수능으로는 제대로 된 평가가 어렵기 때문이다. 통합과학을 수능에서 평가하면 암기 과목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고, 수능 평가 과목에서 제외하면 ... ...
난소암 재발 환자, 면역세포치료제 임상시험 첫 시행
2015.08.04
일종인 림프구를 분리한 뒤 항원과 함께 면역물질 중 하나인 싸이토카인(IL-2)을 첨가해
배양
하고 암세포를 가장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NK세포)와 자연살해T세포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면역세포치료제는 환자의 혈액에서 추출된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면역 반응에 대한 ... ...
메르스 종식 선언 앞두고 메르스 무력화 시키는 항체 발견
2015.07.28
연구팀은 실제 메르스 환자의 혈액 샘플에서 면역세포의 일종인 ‘기억 B세포’를
배양
해 이 항체를 얻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항체 LCA60이 메르스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과정도 밝혀냈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 달린 ‘CD26’ 수용체에 자신의 S단백질을 넣어 숙주세포로 ... ...
부작용 없는 임플란트 재료 나온다
2015.07.2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연구팀이 다양한 간격을 갖는 패턴을 만들어 세포를
배양
한 결과, 처음엔 표면 전체에 골고루 머무르던 세포들이 점차 간격이 넓은 영역으로 이동하며 접착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레이저를 통해 재료에 구멍을 뚫으면 되기 때문에 어떤 ... ...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것은 물론 근육의 수축 정도가 줄어들고 박동 속도도 느려졌다. 실험용 배지에 평면으로
배양
된 심장세포만 이용해서는 얻어내기 어려운 결과다. 두 번째 오가노이드는 치료용으로 활용된다. 연구팀은 “훼손되거나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장기에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오가노이드를 이식해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초빙된다. 이곳에서 코흐는 오늘날 미생물 실험의 기본이 되는, 배지에 콜로니를
배양
하는 기법을 개발했고 결핵균(1882년)과 콜레라균(1883년)을 잇달아 발견했다. 코흐는 특정한 세균이 특정한 질병을 일으킨다는 ‘세균이론(germ theory)’의 창시자가 됐고 훗날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다.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만나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담수에서 분리된 녹조류와 규조류가 튜브에 담겨 저온
배양
되고 있는 모습 - 이혜림 기자 제공 ○ 특별인터뷰 “여기는 남극세종과학기지입니다!” 임재환 28차 월동연구대원 “안녕하세요 기자단 여러분! 저는 남극 세종과학기지에서 기상을 연구하는 임재환 ... ...
심장에 딱 붙여 치료하는 ‘세포 스티커’ 개발
2015.06.10
세포 스티커를 제작했다. 손상된 부분의 세포를 떼어내 신체외부에서 세포스티커 위에서
배양
한 뒤, 장기나 피부에 붙이면 기존의 세포와 스티커 위의 세포가 동화돼 손상이 회복되는 식이다. 연구진이 쥐의 심장세포를 이용해 세포 스티커를 시험한 결과 심장세포의 기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