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칩 위에 사람 장기 키우는 ‘생체 칩’ 뜬다
2016.03.18
장기 칩은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 교수는 “미세혈관을 피부세포와 함께 칩에
배양
하는 ‘스킨온어칩’을 개발 중”이라며 “기존에 인공 피부 조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알레르기 반응 등 피부 건강에 중요한 시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항암치료로 인한 남성 불임, 새로운 길 열려
2016.03.01
군견 ‘벨기에산 말리누아’의 정소조직에서 분리한 정원줄기세포를 시험관에서 대량
배양
한 뒤 동결 보존하는 기술을 먼저 개발했다. 이 줄기세포를 다시 꺼내 면역거부반응이 생기지 않도록 만든 면역결핍생쥐의 피부에 이식했더니 정상적인 군견의 정소조직이 만들어졌다. 재생된 정소조직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아세톤으로 바꾼다
2016.02.29
화학물질이기도 하다. 시아노박테리아는 빛과 이산화탄소만 있으면 경제적으로 대량
배양
이 가능하고 세포 성장 속도도 식물보다 빠르다. 연구팀은 시스템을 모듈화해 활용성을 높이고 주위 환경에 변화를 주어 아세톤 생산 속도도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우 연구원은 “기존 이산화탄소가 나오는 ... ...
청국장에서 ‘스타 균주’를 찾아라
2016.02.26
있다. 영세한 산업 구조 탓에 대량 생산도 어렵다. 정 원장은 “낫토는 미생물 한 종류만
배양
해 강제 발효시키는 방식”이라며 “청국장은 여러 미생물을 이용해 자연발효 시키는 만큼 식품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낫토에 뒤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마재형 고려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팀은 ... ...
영화 ‘마션’처럼 화성에서 감자 키울 수 있을까
2016.02.24
재배로 실험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 척박한 땅에서 잘 버티는 감자, 영양가도 높아
배양
접시 위에서 자라는 감자. - 국제감자센터(CIP) 제공 연구팀이 화성감자 후보로 지목한 100종은 CIP에 등록된 감자 4500종 중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들만 꼽은 것이다. 재배에 성공하면 이 중에서도 가장 환경 ... ...
‘미니 뇌’ ‘미니 위’ 등 초소형 인공장기로 질병 연구 새 길 열릴까
2016.02.19
줄기세포연구소(HSCI) 교수팀은 쥐의 위에서 채취한 조직을 활용해 ‘미니 위’를
배양
한 뒤 이를 다시 쥐의 몸속에 이식해 인슐린을 분비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줄기세포 분야 학술지 ‘셀 스템 셀(Cell Stem Cell)’ 18일자에 발표했다.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을 분비하는 ... ...
인공심장 만드는 새로운 세포
배양
기 나왔다
2016.02.17
생산할 경우 기존 동물세포
배양
기는
배양
액 1리터당 112㎎을, 미세 유체장치를 적용한
배양
기에서는 리터당 126㎎을 얻었다. 김 교수는 “앞으로 효율을 더 높이면 다양한 의료용 제품의 생산성이 크게 늘어날 걸로 보인다”며 “세포 손상이 큰 영향을 끼치는 인공심장 개발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 ...
그래핀 위에 인간 줄기세포
배양
첫 성공
2016.02.16
배양
할 때 쓰는
배양
접시에 그래핀을 코팅하는 기술이 추가로 필요하다”면서 “그동안
배양
접시에 그래핀을 코팅하려면 1000도의 고온에서 작업해야 했지만 이번 연구에선 코팅 온도를 250도까지 낮추는 데 성공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 ...
겨우 40대인데 왜 눈이 침침하지?… “네, 노안 맞습니다”
동아일보
l
2016.02.15
주인님은 한술 더 떠 씻지도 않은 더러운 손으로 저를 비비는군요. 저를 세균
배양
용으로 쓰기로 마음먹은 것 같습니다. 인공눈물 중에는 세균 성장을 억제하는 보존제가 첨가된 것들도 있지만, 웬만하면 보존제가 들어 있지 않은 일회용을 이용해 주세요. 보존제의 일부 성분은 각막 세포 조직을 ... ...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02.08
과거에는 항생제의 내성 여부를 파악하는 데 수 일에서 수 주가 걸렸다. 병원균을 추출해
배양
한 뒤 고성능 컴퓨터로 전체 DNA를 분석하거나, 항생제를 적용한 뒤 나타나는 반응을 일일이 확인해야했기 때문이다. 새로운 소프트웨어는 병원균의 내성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만 감지해 시간을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