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뉴스
"
배양
"(으)로 총 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생제내성균 빨리 진단할 수 있는 비결은…”
과학동아
l
2014.07.08
NGS)’을 이용했기 때문”이라며 “이 기술을 이용하면 오랜 시간을 들여 세균을
배양
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HAI 키트는 바이오기업인 이원다이애그노믹스게놈센터가 국내에 도입할 예정으로 올해 말 식약처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원다이애그노믹스게놈센터는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빵이 아니다! “어떤 수식어도 붙지 않은 빵이라는 단어는 오로지 밀가루, 사워도우
배양
액(발효종) 혹은 맥주나 곡물로 만든 효모, 식수, 소금을 섞은 반죽에서 나온 산출물에만 사용된다.” ... ...
‘꿈의 전자파’ 생체 부작용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4.06.18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 그동안 인위적으로
배양
한 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했을 뿐, 살아있는 조직에서의 영향은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고출력 테라헤르츠파를 생쥐의 피부에 30분간 쪼였더니 6시간 뒤 피부조직에서 염증세포의 수가 6배 이상 늘어난 ... ...
여성 화공학도, 회사와 함께 성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실험실 생활을 병행할 수 있을지 걱정하는 지도교수에게 “아이를 업고 와서라도 세포
배양
은 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 주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 있게 행동하면 문제가 없다는 의미였다. 자신의 의지대로 씩씩하게 걸어온 인생이지만 굴곡이 없지는 않았다. 회사에 처음 발을 들였을 ... ...
이것 개발했더니 보톡스 대체물질까지?
과학동아
l
2014.06.02
분리·정제할 수 있어 합성 리포좀의 불완전한 재현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대량
배양
이 가능한 효모의 특성을 살려 동물실험에 따른 고비용 문제도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전 교수는 “인간의 신경전달 과정을 간편하게 분석하게 된 만큼 각종 신경질환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 ...
고양이+소=인간 변종 로타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14.05.27
거의 발견되지 않고 고양이에게서 종종 발견되는 G3P[9] 유전자형인 점에 주목하고 세포
배양
법을 이용해 11개의 RNA 유전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환자의 로타바이러스는 고양이에게서 유래한 유전체 6개와 소에게서 유래한 유전체 5개가 재조합된 변종 바이러스인 것으로 드러났다. ... ...
간암 원흉 C형 간염, 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05.19
죽이는 것이다. 신 교수팀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실험실에서
배양
하며 다양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제1형 주조직복합체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면역체계를 피해 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과정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는 감염된 ... ...
수정란에서 배아줄기세포 획득 성공
과학동아
l
2014.03.27
수정란을 이용해 배아줄기세포를 얻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5월 인간 복제배아줄기세포
배양
에 성공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은 연구진의 성과라는 점에서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강은주 박사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팀은 수정란이 첫 분열을 마쳤을 때 핵을 바꿔 ... ...
탄저균 공격, "이것"만 있으면 무용지물
과학동아
l
2014.03.17
있는 치명적 생물학 무기. 바로 ‘탄저균’이다. 문제는 기존의 탄저균 검출은 세균
배양
등으로 인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렸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나노기술을 이용해 탄저균 DNA를 쉽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서울대 화학부 남좌민 교수팀은 금·은·구리의 나노(nm·1nm는 1 ... ...
나노섬유로 세포
배양
해 손상 조직 치료
과학동아
l
2014.03.12
유사하게
배양
하는 세포
배양
기술을 소개하고, 세포칩과 조직칩, 조직재생용 세포
배양
구조체 등의 활용 분야를 살펴볼 예정이다. 이에 앞서 부산과학기술협의회 황현주 교사는 ‘찌릿 찌릿~ 통할까?’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진행한다. 한국연구재단은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1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