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전문가인 김 연구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했다. 어리여치는
풀
벌레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이 완전히 달라요. 꽃가루를 옮겨서 수분시키는 녀석도 있어요. 이것 보세요.” 스마트폰을 휙휙 넘기더니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호기심이 많았다. 배추흰나비와 큰 멋쟁이나비가 배추꽃에 이끌리듯 꽃과 곤충, 쐐기
풀
에 끌렸다. 하지만 그런 건 입을 채우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 됐다. 어머니와 아버지는 내 지식욕을 꺾으려고 부단히 애썼다. 내가 돌무더기 속에서 매혹적인 곤충을 발견해도, 어머니는 문 앞의 오물 더미에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한 분야인 그래프 이론을 적극 활용해 ‘크리스 패턴’이라는 전개도를 만든다.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작품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전개도다.수학자들은 여기에 ‘한 번만 자르기’와 같은 조건을 붙여 유희 수학 분야에 새로운 문제를 만든다. 한 번만 잘라서 도형을 만드는 문제는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그 자리에 살고 있다는 보장이 없거든요. 예를 들어 유럽에서 들어온 ‘애기노랑토끼
풀
’은 처음에는 서울 한강 둔치에서 발견됐어요. 몇 해 동안 한강둔치에서 발견돼 한강을 기점으로 퍼져나간다고 생각했지만, 어느 순간 사라져 버렸지요. 그리고는 제주도 저지대에서 발견됐어요.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토론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박형주 교수도 “시험문제도 단순히 유형을 암기해서는
풀
수 없는 서술형 문제 위주로 내야 수학 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찾을 수만 있다면 위험한 전염병을 막을 수도 있을 터였다.크레이그 교수는 1967년 비밀을
풀
실험을 계획했다. 수컷의 여러 분비물을 생성기관별로 나눠서 각각을 모기 암컷에게 주입하는 것이었다. 실험 결과 수컷의 부생식샘(Inside 참조)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암컷에 교미 지연을 일으켰다.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이뤄진 편미분방정식이 이보다 더 어렵다는 건 자명합니다.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풀
려면 현대수학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발달해야 합니다.”최근 100년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역사였다.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각각 그리고 칼로 잘라요. 이렇게 자른 종이를 접거나 구부려서 입체감을 준 뒤, 층층이
풀
로 붙여서 조립하면 완성이에요. 종이 조각 사이에 층층이 다른 종이를 넣어서 공간을 약간씩 넓혀 주면 더욱 입체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답니다.황정아 작가는 앞으로도 다양한 종이 작품을 만들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때문에 물과 접촉하지 않아요. 수원청개구리 역시 마찬가지지요. 물 위에 솟아오른 모나
풀
을 움켜쥐고 노래를 하는 한이 있더라도 물에 직접 닿지는 않는답니다. 그래서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가 노래를 할 때는 온 몸이 공기 중에 노출돼 피부가 빠르게 마르게 돼요. 노래주머니가 팽창과 수축을 ... ...
마지막 한 방울의 케첩까지 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용기에 남지 않고 잘 미끄러져 나가게 된답니다.바라나시 교수는 “이번 연구가
풀
, 케첩에 그치지 않고 석유 탱크나 배관에도 활용된다면 손실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모세관 현상 : 아주 가는 관이 있을 때, 액체-액체가 달라붙는 힘과 액체-관이 달라붙는 힘 때문에 액체가 ... ...
이전
80
81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