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풀"(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압력 단위), 2번 다이버 188바!” 공기통에 든 공기가 충분하다는 의미였다. 다이버들의 풀페이스 마스크(얼굴을 완전히 가리는 잠수장비) 너머로 “스-하, 스-하” 거친 숨소리가 들렸다. “입수!” 부두 끝에 서있던 다이버 두 명이 오리발을 앞으로 내밀며 물로 뛰어들었다. 물속에서 한 차례 빙그르 ... ...
- [지식] 폴리노미오그래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이차방정식까지만 아는 중학생들은 이와 관련된 작품을 만들고, 복잡한 다항식을 풀 수 있는 박사 과정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그림을 다항식을 이용해 나타냅니다. 저는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서 폴리노미오그래피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한국은 2014년과 2012년에 방문해 중고등학생과 ... ...
- [소프트웨어] 클릭 클릭! 소수 판별 게임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실제 암호에서는 60자리 이상 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라고 해도 암호를 풀 수가 없는 거지요.이런 RSA 암호는 소수와 소프트웨어가 만나 만든 걸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암호를 개발한 수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와 아디 샤미르, 레오나르드 아델만은 1982년 ‘RSA 시큐리티’라는 회사를 ...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난 동작으로 수정한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해제할 수 있다. 즉 그리거나 누르는 과정을 생략하고 지문을 갖다 대기만 하면 잠금을 풀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과정을 생략해 주는 기술은 내가 원하는 결과에 조금 더 빨리 더 편리하게 도달하게 해준다.번뜩이는 아이디어, 그것은 한 끗 차이스마트폰에 쓰이는 가상키보드 개발자가 됐다고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영점 계산리만은 직접 손으로 영점을 계산했다. 하지만 이는 웬만한 수학자도 풀기 어려운 작업이다. 그래서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은 영점을 계산하는 기계를 만들었다. 그 결과 1104개의 영점을 구했다. 이후 컴퓨터를 이용해 영점을 구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슈퍼컴퓨터로 10조 개 이상의 영점이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필요할 수도 있어요. 그런데 수학을 넓고 깊게 공부해 두지 않으면 단순한 문제밖에 풀 수 없어요. 생물학을 연구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건 새로운 관점이라는 걸 잊지 마세요. 쓸모없는 것 같은 수학도 반드시 쓸 데가 있답니다. 꼭 유학을 가야 하는지는 수리생물학 중에서도 어느 분야를 하고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존 컴퓨터로 풀려면 100년이 걸린다는 수학적 증명이 있다고 할 때 이것을 99년 걸려 풀어내기만 해도 양자 효과를 썼다는 증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연합뉴스에 따르면 구글 엔지니어링 디렉터 하르무트 네벤 박사는 8일 기자간담회에서 “특정한, 주의 깊게 고안된 ‘개념증명용(proof-of-concept)’ ...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이지요.이처럼 겨울눈은 어려움의 상징인 동시에 희망이랍니다. 어려운 겨울을 이겨낸 풀과 나무들이 피워낼 새 봄의 찬란한 꽃들을 기다리며, 우리도 희망이 가득한 겨울을 보내 보는 것이 어떨까요.*분화 : 세포가 복잡한 기능과 형태를 가진 성숙한 상태로 성장해 가는 과정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교수의 기존 알고리듬이 지금까지 알려진 NP-완전의 그 어떤 문제보다 빠른 시간 안에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래프 동형 문제, P가 될 수 있을까?이번 바바이 교수의 증명이 맞다면 그래프 동형 문제는 생각보다 P에 매우 가까워지는 셈입니다. 예전에도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어떤 수가 ... ...
- 고라니 vs 노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노루는 봄부터 가을까지는 산 중턱쯤에 살며 풀을 먹고 살아요. 이때 무려 600종 이상의 풀을 먹으며 살아간답니다. 하지만 겨울이 돼 식물이 줄어들면 몸을 숨기기 위해 더 높은 산 속으로 들어가 살아요. 이때는 먹이가 줄어드는 만큼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체내 대사율을 떨어뜨리기도 하지요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