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풀"(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있을 때도 항상 네모 눈동자를 땅과 수평하게 유지한다. 그래서 머리를 땅으로 수그리고 풀을 뜯어먹는 동안에도 항상 눈으로 주변 상황을 살필 수있다. 또 수평적인 시력이 뛰어난 덕분에 멀리서 천적이 다가오는 것도 비교적 정확하게 볼 수 있다.동물마다 각자 환경에서 먹이를 잘 사냥하도록,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있어요. 콘크리트 배수로는 비 온 직후를 빼곤 메말라 있어서 풀이 자라기 어려워요. 간혹 틈새에 한두 개 정도만 자랄 뿐이에요. 아쉽게도 콘크리트 배수로는 생태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구조지요.이렇게 현대의 농법은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가 공존하는 길을 가로막고 ...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생일’ 문제다. 대체 어떤 문제였기에 뇌섹남들도 모두 풀지 못했을까? 문제뿐만 아니라 풀이에서도 수학 개념이나 공식이 전혀 쓰이지 않았다. 앨버트와 버나드의 대화에서 ‘모른다’는 사실도 하나의 정보로 생각한 다음, 그것을 토대로 논리의 흐름을 따라가야 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었다. 박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수능로봇의 인공지능은 대부분 언어 지능에 해당한다. 이들은 유사한 과정으로 문제를 풀이한다. 먼저 문제를 읽고 자신들의 언어로 바꿔주는 ①자연어 처리과정, 여러 문제들의 유형과 답을 학습하는 ②학습(기계학습) 과정, 그간의 학습을 바탕으로 신뢰도가 높은 답을 선택하는 ③추론 과정을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반추동물이 전분(가용성탄수화물)이 많은 쌀이나 밀 같은 곡물보다는 섬유소가 많은 풀이나 건초 등을 즐겨 먹는 이유다. 마지막으로, 육식과 초식 외 나머지를 잡식동물로 분류한다.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을 모두 먹는 돼지, 닭, 쥐, 곰, 라쿤, 스컹크 등이 속한다. 인간은 이 중 잡식동물에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찍었지요. 이 과정에서 각 식물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배울 수 있었어요. 또 토끼풀로 예쁜 장식품을 만들고, 가족과 함께 사진을 찍는 미션을 통해서 가족간의 정을 쌓았답니다.현근성근탐험팀의 이현근 대원은 “수목원을 뛰어다니며 놀이처럼 미션을 수행해 즐거웠다”며, “지느러미엉겅퀴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잘라 실험실에서 키우는 거예요. 이것이 작은 묘목으로 자라면 밭에 심어 큰 바나나 풀로 키운답니다.그런데 이렇게 복제된 농장의 바나나들은 야생 바나나에 비해 유전자 다양성이 떨어져요. 즉, 모두 똑같은 유전자만 갖고 있는 거예요. 그러면 어떤 질병이 돌았을 때 모두 같이 걸릴 수밖에 ... ...
- [수학뉴스] 먹이 사슬을 한눈에 보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사자가 죽으면 미생물이 사체를 분해해 땅을 비옥하게 만듭니다. 그리고 다시 땅에서 풀이 자라나지요. 이런 자연의 법칙을 한 눈에 볼 수 있을까요?미국 프린스턴대 생태진화생물학과 앤드류 돕슨 교수팀은 생태계의 먹이 그물을 일반화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개발해 ‘사이언스’ 8월 21일자에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바라볼 때 송장벌레의 삶을 제대로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하늘소는 소가 풀을 뜯어먹는 것처럼 채식을 한다. 식물의 셀룰로오스가 주식이다. 편평한 삼각형 이마와 큰 턱, 입이 달린 얼굴도 소를 닮았다. 심지어 ‘끽끽~’ 하는 울음소리를 들어도 소와 비슷하다. 차이점은 소에는 없는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고용법에 준하는 각종 규제가 있어서 학생을 함부로 대할 수 없다”고 했다.문제를 풀기는 쉽지 않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세 가지가 현실적인 대안이다.1. 저자 순서와 역할을 미리 등록한다류영준 교수는 “저자 사전 등록제”를 주장한다. 우리나라에선 연구가 다 끝나고 논문출판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