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만든 핵심인물과 함께 일한 사람이 국내에는 그 밖에 없기 때문이다(그는 빈트 서프와
대학
원 동기다).학자로서 요즘 그가 몰두하고 있는 문제 역시 여전히 '네트워크' 다. "수천 수억만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하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한 그의 연구과제는 그의 이전 인생과 ... ...
과학지식 보급의 전도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교과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그러다보니 에피소드도 많고 보람을 느끼는 일도 많았다.
대학
에 들어오는 신입생을 면접하다 보면 필자가 쓴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들을 만나고, 이제는 훌륭한 과학자가 된 30-40대의 젊은 학자와 교수들로부터 예전에 필자가 저술한 교양과학서를 읽었다는 이야기를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많이 연구돼 약으로 나왔다. 동시에 인슐린의 정체에 대한 연구도 진행됐다. 케임브리지
대학
의 프레데릭 생거는, 1953년 인슐린의 1차구조를 밝혀내 소나 돼지의 인슐린이 인간의 인슐린과 구조상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게됐다. 또한 미국의 폴 버그(1980년 노벨화학상) 등에 의해 1972년 최초의 ... ...
더 이상 뿔 뽑히는 아픔은 없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통해 그들 소유의 송아지 색깔을 맘대로 고를 수 있게 된다.최근 캐나다 사스카처반
대학
동물과학연구소의 세일라 슈머츠가 이끄는 연구팀은 소의 뿔이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하는 유전자와 매우 흡사한 '마이크로위성'(microsatellites)이란 DNA의 염기 배열 순서를 알아냈다. 그리고 연구팀은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공인의 자세를 지녔으면 한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 시작하자 명정수KAIST는 우리나라의
대학
원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고,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한 첨단인력을 양성 배출하였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제 제2의 KAIST를 창출하고 앞으로의 4반세기를 이끌어 나가기 위한 평가와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끝난다. 새로 임용될 교사들을 교사교육기관인 사범
대학
에서 가르쳐야 하는데, 사범
대학
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를 거의 못하고 있다고 한다.현재 중학교 과정은 통합과학적인 교과로 돼 있다. 그러나 여전히 물상과 생물로 나눠 가르치는 학교가 상당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고등학교에서도 ... ...
애인 잡아먹는 비운의 암거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커서도 어릴적의 식욕을 버리지 못하고 수컷을 잡아먹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프린스턴
대학
의 루빈스타인박사는 매우 재미있는 결과라고 하면서 "이런 현상은 어릴 때 옳다고 생각했던 것이 나이가 먹어서도 옳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얘기한다"고 말했다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천재아로 명성을 날렸던 우리나라의 신동 김모군은 10여세의 어린나이에 미국에 있는
대학
으로 유학했지만 20대에 들어서자 여느 사람과 다름없는 평범한 청년이 됐다.이상의 사례들은 한 사람의 일생에 있어서 그가 지닌 지적능력, 곧 지능이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준다. 만약 10대의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과학영재들이 많이 모인다는 KAIST. 설문조사를 통해 KAIST학생들의 참모습을 찾아봤다. '행복한 가정생활'이 '학문적 성취' 보다 중요하다는 그들은 더 이상 외곬의 과학 ... 접했고 22명이 중학교때, 국민학교때 접했다는 사람도 4명이나 됐다. 나머지는
대학
교와
대학
원 때 처음 봤다고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관심이 시작됐다. 이전에는 주로 정형외과나 생리학교실 등에서 연구됐으나, 최근 체육
대학
내 관련 학과들이 신설되고 종합병원에 스포츠의학실이 별도로 마련되는 등 이 분야에 대한 연구와 실용화가 확대될 전망이다 ... ...
이전
840
841
842
843
844
845
846
847
8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