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보니 무척 많은 개체수가 발견되는 곳이다. 검은머리갈매기의 행동을 연구하는 경희대
대학
원생들이 먼저 진을 치고 있었다. 아침에 관찰된 새가 3만마리 이상이었다고 한다.검은머리 갈매기와 혹부리오리 뿔논병아리 등 보기 힘든 새들이 많이 관찰됐다. 약간 여유롭게 움직이던 탐사팀은 오후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하와이 동남쪽 클라리온-클리퍼튼 균열대 내에서 최초의 탐사를 실시했다. 하와이
대학
의 해양조사선 카나케오키호(Kana Keoki)를 빌어 총 20만㎢에 달하는 지역을 탐사했다.그러나 심해저 개발은 곧 이어 벽에 부딪혔다. 당시 심해저개발을 위한 선행국가가 되려면 3천만달러의 비용이 드는데, 이를 ... ...
공룡은 암에 걸려 멸종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반응은 매우 호의적이다. 집단 멸종에 관한 가장 유력한 제의자 중 한 사람인 시카코
대학
의 데이빗 슈람 박사같은 이도 "이론적으로 보아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며 콜라 박사의 의견에 동의하고 있다 ... ...
유해성 유기용제 제거하는 인공돌덩어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주요 원인인 유기용제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다. 리버풀
대학
의 연구팀이 개발한 새 촉매는 원하지 않는 용제를 잉여물로 만들 수 있다.약이나 농약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기 화학물 중에는 거울에 비친 모양으로 좌우대칭이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많은데, 이를 이성질체 ... ...
5. 에너지·환경 판도라 상자에 남아있는 마지막 희망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에너지 확보와 환경오염 방지는 21세기를 맞이하는 인류에게 가장 큰 난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계면공학 측면에서는 어떤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는 것일까.프로메테우스와 에피메테우스는 인간이 창조되기 전에 지상에 거주하고 있던 신들이었으며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안보면 멀어진다는 이야기처럼 항상 눈 앞에 있는 손에 비해 신발 속의 발은 관심 밖의 대상이기 십상. 이제 발에 관심을 가져보자. 발이 편해야 만사가 편해지므로. 고대 이집트벽화나 조각에 나오는 사람들의 발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상하게도 엄지발가락이 길게 그려져 있고, 그리스벽화에 나오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시연되기도 한다.11월에 열리는 '인터오페라' 는 이보다는 훨씬 대중적인 이벤트. 미국 MIT
대학
미디어연구소에서 전송한 배경음악이 인터넷을 타고 태평양을 건너 일본 웨스틴호텔 가든룸에서 열리는 오페라무대로 전달되면 이 음악에 맞춰 일본 오페라가수들이 노래를 부르는 환상적인 이벤트다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강료가 성인 경우보다도 훨씬 비싸 한달에 30만원 수준이 보통이며, 어린이 영어
대학
이라고 간판을 붙인 곳은 50만원에 달한다. 유치원 보내랴, 미술학원 컴퓨터학원 보내랴, 게다가 영어학원까지 보내려니 보통 사람으로선 엄두도 못낼 일이다. 그렇다고 모르는 척 하기엔 우리 아이만 뒤떨어지는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분야에 문외한이었지만 음향학 연구를 통해 전화와 '연결'될 수 있었다. 그는 에딘버러
대학
의 발성학 교수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인간의 음성과 기능에 관심을 가졌다.벨은 언어 감각이 매우 뛰어났다. 벨이 한때 캐나다 모호크족의 언어를 배워 말을 유창하게 구사하자 추장이 그를 명예부족원으로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불과하다"고 덧붙여 말했다.이러한 추정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옥스퍼드
대학
의 동물학자인 R. M. 메이박사는 그 숫자에 이의를 달면서 심해에 살고있는 생물은 50만종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반대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생물학자인 G. C. B. 푸어박사와 G. D. F. 윌슨박사는 ... ...
이전
839
840
841
842
843
844
845
846
8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