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많은 경우 엉뚱한 상상에 쉽게 빠지거나 현실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예를 들어
대학
입시를 앞둔 수험생이 자신은 고등학생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그것이다.이 증상도 두뇌의 해마 부위에 손상이 와서 발생한 것일까. 이민수교수는 "이는 의식적인 노력으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말이 전부다.지난 87년초부터 88년 7월까지 독일 하노버의 마르쿠스, 헤스 등 5명의 해커가
대학
인터넷망을 통해 대서양에 떠있는 인공위성을 경유해 국제 범죄를 저지른 '뻐꾸기알' 사건은 아직도 회자되는 전설적인 해킹 사건. 범인들은 인공위성을 중개해 미국 버지니아에 있는 방위업체에 무단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빛의 본질이 입자인지 아니면 파동인지를 규정하는 것은 무척 어려운 문제다. 두가지 입장 사이에 있었던 경쟁과 대립은 과학의 역사상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됐다. 입자설은 17세기부터 18세기 초반까지 호이겐스, 뉴턴, 라플라스 등 당대의 유명한 과학자들로부터 지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952년 미국 제약회사 설의 콜튼이 합성한 노르에티노드렐이었다.콜튼은 1949년 시카고
대학
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메이오클리닉에서 켄들과 함께 코르티손 합성(과학동아 95년 11월호)을 연구했다. 켄들이 코르티손의 류머티즈관절염 치료효과를 발견한 업적으로 1950년 노벨의학상을 수상한 것을 ... ...
세상에서 제일 큰 인공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1.5mm인 원반형이기 때문에 보석으로 쓰기에는 부적합한 공업용품이다.미국 플로리다
대학
재료공학과의 아데어교수는 “낭만적인 생각을 접어두고 보면 다이아몬드는 아주 훌륭한 공업용 재료”라고 말한다. 다이아몬드는 경도가 매우 높아 공작기계에서부터 부엌 작업대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 ...
비만 여성이 낳은 자식, 신경손상 일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아니거나 당뇨에 걸리지 않은 비만 여성의 아이에게도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보스톤
대학
공중위생센터의 미첼 박사도 신경계 질병을 앓는 6백4명의 아이와 산모를 조사, 비슷한 결론을 얻었다. 몇년 전 미첼 박사는 평균 몸무게를 지닌 임신한 여성에게 엽산을 투여하면 아이의 신경계 질병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또한 버그가 많은 국내 모 대형 PC통신서비스사도 자주 동원되지요. 다음은 국내의
대학
과 연구소입니다. 해킹은 상상력과 남의 버그를 이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고, 인터넷을 통해 해킹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모으고, 다른 해커와의 교류도 활발히 해야만 ... ...
인터넷 정보에도 세금 붙인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전자우편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게 되면 세금을 내지 않는 상태.네덜란드 림버그
대학
에서 경제학을 강의하는 소에테 교수는 "미래의 생산과 경제 활동의 많은 부분을 정보산업이 차지할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이런 보이지 않는 경제활동에도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확실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고 ... ...
1. 음식 : 유아·아동기 태아부터 4세까지 DHA 아라키도닉산 공급 필수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육체와 정신의 관리본부인 뇌조직은 동물의 종류마다 그 최대발달 시기가 다르다. 사람의 경우, 뇌는 어머니 뱃속의 태아기와 영아기에 가장 왕성하게 발달해 약 4세 이전에 그 성장이 모두 끝난다(그림1). 우리 몸의 다른 어느부위보다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이다. 또한 출생 후 두뇌조직이 완성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엉켜 세포내의 정상적인 대사를 방해하고 세포를 죽게 만드는 것이다.런던 왕립
대학
의 신경과의사인 존 콜린지의 실험은 광우병이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을 지도 모른다는 희망 섞인 전망을 내놓았다.콜린지는 사람의 유전자를 넣은 쥐에게 광우병이 걸려 죽은 소의 뇌세포를 주입하는 실험을 했다 ... ...
이전
836
837
838
839
840
841
842
843
8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