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미국 텍사스대 마린 호일레 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35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수학문제를 풀었습니다. 증명한 문서 크기만 무려 200TB(테라바이트)라고 합니다. 1TB는 1024GB(기가바이트)이고, 1GB는 1024MB(메가바이트)입니다. 보통 음악 파일 한 곡의 크기가 5MB 정도이니, 약 4000만 곡이나 되는 엄청난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법을 연구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번 연구는 둘 중 후자에 방점이 찍힌 연구예요.방정호 한양대 연구조교수는 “무한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려고 한 도전정신은 높이 평가한다”며 “다만 아직까지는 기술이 다른 곳에 응용될 여지는 낮다”고 말했습니다. 조금 김이 새지만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태스크포스에 참여해서 함께 일했으면 좋겠다. P 뭐니뭐니해도 한국은 아라온 호라는 멋진 플랫폼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남극이나 북극에 부이를 띄우려고 해도 당장 쇄빙선이 없으면 갈 수 없다. 많은 나라들이 한국과 협업하고 싶어하는 이유다. 한국은 인공위성에서 획득한 자료를 분석해 극지를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성충에서는 특정한 맛을 피할 때, 수컷 성충에서는 짝짓기 신호를 감지할 때 활성화됐다. 호버트 교수는 “암수의 성장 단계에서 뇌 발달 차이가 생기는 것 같다”며 “어떤 기전으로 신경망의 연결이 달라지는지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모아 보내줘도 좋아요. 학용품이 필요한 전세계 친구들에게 학용품을 보내고 있는 ‘호펜’, ‘옮김’과 함께 학용품들에게 멋진 새 친구를 찾아 줄게요. 아래 주의사항을 잘 읽고 많은 참여 부탁할게요~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우리는 작은 돌덩어리 하나를 통해 화성에서 물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이런 호기심을 한꺼풀, 한꺼풀씩 벗겨 나가는 학문이 화학이고 물리학이다. 광물 안에는 지구와 우주의 역사가 있고, 양자역학도 있다. 광물과 화석을 전시하는 자연사박물관이 단순한 볼거리가 아니라, 기초과학의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NASA는 돛 대신 전자기장을 이용한 ‘이-세일(E-Sail)’을 실험하고 있다(과학동아 5월호 과학뉴스 참조). 우주범선은 전자와 양성자 등의 입자가 돛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는 반면, E-Sail은 돛 대신 긴 와이어에 전류를 흘려 전자기장을 형성해, 태양에서 오는 양성자와의 전기적 반발을 ... ...
- [소프트웨어] 40년 전 최고의 인기 게임! 퐁Pong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줄 모를 만큼 재미있지요. 놀랍게도 컴퓨터 게임은 50년대부터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1972년의 유명한 고전 게임 ‘퐁’을 직접 만들어 봅시다.오늘의 미션인류 최초의 게임은 바로 1958년 오실로스코프에 그래픽 표시 장치를 이용해 만든 ‘테니스 포 투’입니다. 연구소 방문객의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단어 앞글자로 만든 단어는 세상에 없는 단어지요. 규칙도 없어 보이니 무작위로 만든 암호로 볼 수 있습니다.학교 다닐 때, 공부 외에 관심 분야가 있었나요?제가 대학을 다닐 때 스타크래프트 게임이 유행했어요. 저도 스타크래프트에 푹 빠져있었죠. 특히 저희 과에 최초로 프로게이머 특채로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차 없애려면 섬세함 필요기자가 기상1호를 찾았을 땐 이세표 국립기상과학원 연구원과 주태규 연구원 등이 열흘 동안 관측한 자료를 정리하느라 분주했다. 흔들리는 배 위에서 장기간 머무른지라 피곤한 기색이 역력했다. 이세표 연구원은 “관측 장비가 ... ...
이전798081828384858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