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시간을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1977년 발사된 태양계 무인탐사선 ‘보이저 1호’는 121AU를 날아 태양권 끝에 도달하는 데 35년이 걸렸다. 비그만 박사는 “E-Sail을 이용하면 태양권 경계까지 10년 안에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이용한 건 100년 전부터다. 1912년 영국의 타이타닉 호가 빙산에 부딪쳐 침몰한 뒤, 캐나다 출신의 발명가 레지날드 페센덴은 ‘능동 소나’를 개발했다. 능동 소나란 음파를 쏴서 목표물에 맞고 반사된 음을 감지해 위치와 거리 등을 알아내는 장비다. 수중 레이더인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악어 류인 ‘악어목(Crocodylia)’이다.살아남은 악어목은 열대와 아열대 지역의 강과 호수, 늪지대에서 번성했다. 하지만 공룡시대 때만큼의 다양한 모습은 보여주지 못했다. 왜냐하면 다른 동물들이 과거 악어들이 차지했던 생태적 지위들을 거의 모두 차지해 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악어목은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수,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 신상언 연구원, 경찰청 예수조 경위, 서울지방경찰청 이창 호 경위, KIST 김익재 책임 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함근수 실장, 부산지방경찰청 김도형 경사, APOPO, Parabon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레이저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는데요. 레이저에 있는 잡음 호가 특정 조건에서 극도로 줄어드는 현상이 초방사현상입니다. 이 현상을 이용하면 극초저잡음 레이저 광원을 들 수 있어요. 그럼 광양자통신이나 양자컴퓨터 연구에도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
- [수학뉴스] 게임이론의 대가 ‘로이드 섀플리’ 영원히 잠들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남자 1호, 평범한 남자 2호, 인기 있는 여자 1호, 그리고 평범한 여자 2호는 서로에 대한 선호도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애정촌 주인은 반드시 두 커플을 만들고 싶어서 어떻게 엮어주면 가장 이상적인 두 커플이 탄생할지 고민했습니다. 그 때 한 수학자는 완벽한 커플을 만들려면 인기 많은 두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걸었을 경우 평균 보폭은 100m÷154=0.65m, 즉 65cm가 됩니다.지삿개 주상절리를 나와 씨에스 호텔로 가던 중 일정 구간의 거리를 재봤습니다. 먼저 100cm 줄자를 바닥에 붙여놓고 줄자 위를 여러 번 걸어 보폭을 잰 다음 계산기로 평균 보폭을 구했습니다. 그리고 거리를 잴 구간의 끝 지점까지 몇 걸음을 ... ...
- [과학뉴스] 상어, 미래 산성 해양에서 살아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이 급증하면서 오는 2100년에는 해양의 산성화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배 더 심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상어는 이런 환경에서도 생존이 가능하 ... 생존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보존 생리학’ 2016년호에 발표됐다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겠지? 그럼 난 지구를 배경으로 셀카 찍으러 가야겠다. 모두 안녕~!도움 및 사진 : 옥호남(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기술개발단), 스페이스X, 블루 오리진, NASA, 위키미디어, 게티이미지뱅크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과학 분야에 ‘재현성 논쟁’이 뜨겁다. 과학 전반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쉽게 볼 수 없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널리 이용되는 절차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 다음 호에서 영가설 검증과 유의확률의 허점에 대해 알아본다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