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누리안호를 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노경정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를 따라 누리안호를 둘러봤지요. 누리안호 곳곳에서 첨단장비들이 눈에 띄었어요.“감압챔버는 잠수사들의 *잠수병을 치료할 때 쓰이는 중요한 장비예요”특히 사람들의 눈길을 끈 장비는 감압챔버였어요. 동그란 통 모양의 잠수함을 닮은 감압챔버 한쪽 ... ...
- Part 3. 범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평소 부끄러움을 많이 타서 사람 근처엔 잘 다가가지도 않는다는 끼룩씨의 증언을 들으니 상괭이들의 행방이 더욱 묘연해집니다. 도대체 상괭이들에겐 무 ... 더 위험해요. 그물에 갇혀 있는 동안에는 수면 위로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폐호흡을 하는 고래들은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이지요 ... ...
- [과학뉴스] 태양빛으로 세계일주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한 대 정도인 2300kg밖에 되지 않아서 장거리 비행이 가능했답니다.하지만 솔라 임펄스 2호의 여행이 쉽지만은 않았어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온도 유지 장치를 달지 않아 조종실 안의 온도가 37℃를 넘을 때도 있었거든요. 또, 밤이나 날씨가 흐린 날엔 태양에너지를 얻을 수 없었지요. 배터리가 ... ...
- Part 1. 단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일. 새만금에서 떠오른 상괭이 사체의 비밀은?2011년 2월 3일, 한 어민이 새만금 방조제 호 안에서 죽은 상괭이를 발견했어요. 어민이 발견한 상괭이 사체는 2월 7일부터 육지로 옮겨지기 시작했지요. 하지만 한두 마리가 아니었어요. 2월 7일 75마리의 죽은 상괭이를 건진 것을 시작으로 4월 21일까지 ... ...
- [쇼킹 사이언스] 바다 속에서 별이 반짝반짝~! 야광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바닷물에 반짝이는 별들이 쏟아져 있었던 거예요! 아름다운 광경을 놓칠 수 없었던 윌 호는 그 풍경을 사진으로 담았죠. 그런데 왜 유독 이곳의 바닷물은 반짝이는 걸까요? 정말 별이 쏟아지기라도 한 걸까요?몰디브 바드후 섬이나 푸에르토리코의 모스키토베이, 자메이카의 몬테고베이 등에는 밤에 ...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특징이랍니다. 러시아, 중국, 한국에 분포하는 장수하늘소는 러시아의 우수리자연보호구역 일대가 대표적인 서식지예요.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강원도와 경기도 일대에서 관찰되었지만, 최근에는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에서만 발견되는 매우 귀한 곤충이랍니다.광릉숲에서도 2006년에 암컷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수 있잖아요. 컴퓨터 덕분인데요, 그거 아나요? 컴퓨터의 원조가 바로 계산기예요. 이번 호에서는 사칙연산뿐만 아니라 거듭제곱과 삼각함수도 되는 공학용 계산기를 만들면서 계산기의 역사도 함께 살펴볼 거예요.컴퓨터 발명으로 이어진 계산기 개발지금으로부터 400년 전 천문학자와 수학자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건물은 80년이 넘었지만 보존 상태가 좋고 문화재 가치가 높아 근대건축물 문화재 제252호로 등록됐습니다.‘테셀레이션’이란 마루나 욕실 바닥에 깔려 있는 타일처럼, 어떠한 틈이나 포개짐이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합니다. 화교 협회 건물과 근대 골목 곳곳에서도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곳이라 겨울에는 혹한의 추위로 사람이 거주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후반 호주 전역을 들끓게 한 골드러시가 이곳까지 영향을 미쳤고, 은과 납 광상이 발견되면서 많은 광산이 개발됐다.하지만 열악한 지역 조건 때문에 점차 채광 비용이 높아졌다. 엄청난 강우량 때문에 지하수가 ...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0억km나 돼요. 따라서 알파 센타우리는 무려 40조km가 넘는 거리에 있는 거죠. 이는 보이저 1호가 현재 속도로 앞으로 8만 년을 더 가야 하는 아주 먼 거리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 ...
이전767778798081828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