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실험과 코딩을 동시에! 액션코딩 아이팝콘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아이팝콘과 함께라면 어디서든지 할 수 있답니다! 다음 호에는 아이팝콘에 달린 온도 센서를 활용해 온도계와 화재경보기를 만들어 볼게요. 기대해 주세요~ ...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노 크기 장미가 폈다. 최근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박기수 건국대 생물공학과 교수, 김문일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 ...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39/c6tb0304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로봇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를 전제로 과학자들은 장애아동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박성기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2014년, 자폐아동의 사회화 훈련을 돕는 로봇 ‘카로’를 개발했다. 아동을 닮은 휴머노이드로, 6~7세 평균키 110cm로 제작됐다.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中 문명을 요리한 유리 레시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원소를 양념처럼 첨가해 입맛에 맞는 새로운 유리를 제조했다.‘기본맛’인 투명한 창호 유리와 금속 이물질을 첨가한 아름다운 채색 유리, 순도를 올린 광학 유리, 열 충격에도 쉽게 깨지지 않는 내열유리 등 유리는 현대문명의 필수 소재로 발전했다. 최근에는 초박형 평면 디스플레이의 기판과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운동 등과 같은 생활습관 요인들의 관계를 밝혀 2017년 2월 학술지 ‘노화’에 게재했다. 호바스 교수는 생선, 과일, 채소, 닭, 오리, 거위등 가금류 고기가 후성 나이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영국 케임브리지대 바브라함연구소 울프 라이크 교수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고지방 ... ...
- [Origin] 고생대의 문제적 동물, ‘툴리 괴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화석 전시 책임자였던 유진 리처드슨은 ‘필드자연사박물관 회보’ 1966년 3월 제37권 3호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1958년 한 남자가 박물관에 와서 그 당시 식물 화석 전시 책임자였던 조지 랭포드를 만났다. 로크포트에서 온 프랜시스 툴리라고 자신을 소개한 그 남자는 (중략) 그의 가방에 손을 넣어 ... ...
- [과학뉴스]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주에 있는 지름 100m 안테나로 돌아온 신호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찬드라얀 1호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실험은 약 세 달간 7번 이상 성공했다. 푸에르토리코에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추가 관측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향후 달탐사를 진행할 때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인 것은 두 가지 양자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자세한 내용은 2016년 과학동아 11월호 노벨물리학상 해설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Z 뒤에 숫자가 없는 것은 모든 정수에 대해서 새로운 절연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수없이 많은 양자물질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지만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지난 암호 풀이◈ 네 자리 자물쇠에 넣을 수 있으려면 9999이하여야 한다. 9999이하의 피보나치 수를 나열해 보면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 ... 몰아간 뒤에 폭탄을 터뜨렸어. 그러니까 마고가 너희 아빠를 죽인 거야. 마고는 널 보호하는 게 아니야! 감시할 뿐이지. 우리를 찾기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호는 달에서 3년간의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