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명
아호
익명
아크
해자
곡선
탄도
d라이브러리
"
호
"(으)로 총 2,8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모집단이 작았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아시아인 코
호
트 정보가 필요하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단점도 있다. 메틸화를 활용한 기대수명 측정은 일정 나이 이상인 사람들에 한해서 예측이 가능하다. 통계처럼 아직 태어나지 않은 2030년생의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 ...
과학실험과 코딩을 동시에! 액션코딩 아이팝콘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마세요. 아이팝콘과 함께라면 어디서든지 할 수 있답니다! 다음
호
에는 아이팝콘에 달린 온도 센서를 활용해 온도계와 화재경보기를 만들어 볼게요. 기대해 주세요~ ... ...
[그래픽 뉴스] 토성 위성에서 생명체 필수 성분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친구가 적은 사용자가 주로 전파를 시작했습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자극적인 루머는
호
기심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비 유명인이 관심을 끌기 위해 전파하는 반면 전파자의 명성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유명인은 전파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루머는 쓰이는 언어도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로봇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를 전제로 과학자들은 장애아동과 상
호
작용하는 로봇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박성기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팀은 2014년, 자폐아동의 사회화 훈련을 돕는 로봇 ‘카로’를 개발했다. 아동을 닮은 휴머노이드로, 6~7세 평균키 110cm로 제작됐다.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인 것은 두 가지 양자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자세한 내용은 2016년 과학동아 11월
호
노벨물리학상 해설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Z 뒤에 숫자가 없는 것은 모든 정수에 대해서 새로운 절연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수없이 많은 양자물질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지만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항해해서 우주선을 귀환시키는 방법을 담은 첫 논문을 썼다. 그리고 4년 뒤, 아폴로 13
호
의 전기 시스템이 폭발로 망가지자 비행사들은 캐서린의 방법을 사용해 살아남는다.그들이 숨겨진 이유‘히든 피겨스’의 의도는 필립 카우프만의 고전영화 ‘필사의 도전’과 비교하면 잘 드러난다. 같은 ... ...
[과학뉴스]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주에 있는 지름 100m 안테나로 돌아온 신
호
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찬드라얀 1
호
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실험은 약 세 달간 7번 이상 성공했다. 푸에르토리코에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추가 관측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향후 달탐사를 진행할 때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1
호
는 달에서 3년간의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
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
호
,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내부보다 표면의 넓이를 상대적으로 넓혔다. 이렇게 하면 표면으로부터 더 많은 신
호
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측정하는 것은 저항인데, 보통 저항을 측정하면 물질 내부의 저항이 압도적으로 크고 표면 저항은 미미하다. 그래서 두께를 줄여서 표면에서 나타나는 저항의 비중을 높게 만든 것이다.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