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스페셜
"
조직
"(으)로 총 1,0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많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또 호르몬 분비가 재조정돼 생식력이 떨어지고 손상된 신체
조직
을 복구하는 속도도 떨어진다. 즉 기초대사량이 줄어든다는 말이다. 한편 수렵채취인과 함께 생활하며 행동을 면밀히 관찰한 폰처 교수는 이들이 가만히 있을 때는 서있기 보다는 주로 앉아있는 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면역억제제 등 다양한 치료법을 병행하고 있다. 한편 증세가 나타났을 때는 이미 해당
조직
이 많이 파괴된 경우도 있는데 하시모토갑상샘염(갑상샘저하증)이나 제1형 당뇨병(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됨)이 그런 병들다. 이 경우 감상샘호르몬이나 인슐린호르몬을 평생 투여해야 정상적인 삶을 살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과학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익숙한 그림을 본적 있으실 겁니다. 단백질이나 생체
조직
의 구조를 X-선 결정학 방식으로 나타낼 때 쓰이는 그림이니까요. 네, 이번 표지는 세포막 같은 생체막에 있는 지질막(=인지질 이중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전에도 한 번 말씀드린 바(☞이 세상에 없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들어 지난 2012년 발견된 호르몬 이리신은 운동을 할 때 분비돼 백색지방
조직
을 갈색지방
조직
으로 바꿔 지방을 태워 대사율을 높이는, 즉 살을 빼는 것으로 밝혀져 큰 화제가 됐다. 그런데 이리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쓴 항체가 다른 분자에도 달라붙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큰 논란이 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문제를 선악의 문제로 보다보니 남이 나와 같은 선택을 하지 않으면 못 견뎌 한다. 특히
조직
의 위에 있는 사람이 이런 성향이 강하면 아래 있는 사람들이 피곤해진다. 오늘날 우리 사회의 혼란이 이런 독선에서 비롯된다는 각성이 일면서 ‘나와 다름’을 인정하는 여유를 갖자는 목소리가 점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자극해 수면시간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이런
조직
에 있는 신경세포(뉴런)의 숫자가 줄어든다. 그 결과 수면에 대한 압력(수면욕)이 줄어들고 잠을 깨라는 신호도 약해진다. 즉 잘 때 제대로 못자고 깨어나서도 정신이 맑지 못하다는 말이다. 나이가 들수록 낮잠을 자는 ... ...
[사이언스 지식IN] 봄꽃 앞다퉈 피는데… 우리 집 화분은 왜 아직 겨울잠?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식물을 야외에 내놓지 못하는 이유는 추위를 견디지 못하는 식물의 경우, 수분이 얼면서
조직
을 손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날씨가 안정적으로 영상권이 되면 온도에 극히 민감한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밖에 내놓아도 괜찮습니다. 부지런한 분들은 이미 이번 주부터 화분을 야외에 내놓으셨지요? Q.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명의 혈액을 검사해 CTC 검출 성능을 검증했다. 특히 폐암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한 CTC에서
조직
검사 때와 동일한 유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 그룹리더 연구진은 소변에서 나노 소포체를 검출하는 엑소디스크도 개발했다. 나노 소포체는 거의 모든 체액에 존재한다. 예전에는 세포가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있는 정단
조직
으로 이동한다는 증거를 밝히면서 플로리겐의 수수께끼는 풀렸다. 정단
조직
은 바로 식물에서 꽃이 피는 장소다. FT단백질은 다른 어떤 호르몬보다 분자량이 큰 호르몬인 플로리겐이었던 것이다. 플로리겐 발견 논란은 70년 만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피오나1, FLM 등 다양한 개화 유전자 ... ...
암 전이에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연구진의 이번 연구는 Lgr5+ 줄기세포를 골라 공격하면 암의 전이를 줄이거나, 다른
조직
으로 전이됐을 때 암의 성장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a)그림=장 피부 밑에 자란 종양에 DT를 처리하면 Lgr5+ 줄기세포가 죽는다. 하지만 전체 종양 크기는 그대로다. 다른 세포가 Lgr5+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