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스페셜
"
조직
"(으)로 총 1,02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부위일 가능성이 높은 곳을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역시 시상하부에 있는
조직
인 실방핵(PVN)과 하부실방구간(SPZ)에서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울트라디언 리듬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반면 시교차상핵(SCN)은 이런 리듬을 발생시키지 못했다. 중국 푸단대와 일본 홋카이도대 공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시아노박테리아가 만드는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리티코-보딕으로 죽은 환자 6명의 뇌
조직
에서 BMAA를 검출했고 알츠하이머병으로 죽은 캐나다인 두 명의 뇌에서도 비슷한 농도의 BMAA를 확인했다. 즉 소철 씨를 먹은 과일박쥐를 먹은 사람만 신경퇴행성질환에 걸리는 건 아니라는 뜻이다. 2005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모르는 걸 모른다고 말하자
2018.09.15
태도를 보이는 편이다. 그 결과 지적 겸손 정도가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조직
에서 좋은 ‘리더’가 되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McElroy et al., 2014). GIB 제공 자신의 무지가 드러나는 것을 비교적 두려워하지 않고, 다양한 의견에도 열린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방을 잘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즉 수십~수백 가지 유전자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라는 말이다. FOXP2는 특히 태아의 뇌
조직
에서 많이 발현되는데, 그 결과 언어처리를 담당하는 회로와 혀와 입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운동신경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언어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유전자 쌍(부모에게서 각각 받으므로)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칼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기능을 못하게 만든다. KCNQ 칼륨 통로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
에 분포하기 때문에 지네에 물리면 심혈관계와 호흡계, 근육계, 신경계가 한꺼번에 교란되면서 상당한 덩치의 동물도 목숨을 잃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KCNQ 칼륨 통로를 열어주는 약물이 있으니 바로 뇌전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피하지방
조직
에 더 이상 지방을 둘 공간이 없으면 내장지방
조직
에 쌓게 되는데 두 지방
조직
은 작동양식이 꽤 다르다. 리버먼 교수는 “내장지방은 호르몬에 몇 배나 더 민감해서 대사적으로 더 활동적인 경향이 있다”고 설명한다. 즉 지방을 더 빨리 저장하고 꺼낼 수 있다는 말이다. 내장지방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쉽게 빼앗길 수 있고 따라서 갈색지방
조직
이 잘 발달해 있다. 반면 사람은 갈색지방
조직
이 상대적으로 적어 물 대신 숙신산 음료를 마시더라도 생쥐만큼 효과가 날지는 미지수다. 그럼에도 조만간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이 진행될 것이다(어쩌면 이미 실시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기적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사람들은 영향력도 작거니와 자기 주장을 내세우는 것도 쉽지 않다. 여성의 경우 역시
조직
에서 의견을 내세우지 않으면 무시당하고 그렇다고 의견을 내세우면 독하다거나 주제 넘는다는 평가를 받기 쉽다고 한다. 하지만 약자가 비교적 큰 부작용 없이 쉽게 자신의 주관을 밀어붙일 수 있을 때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후각수용체 유전자는 대부분 2군이지만 여전히 10~20%는 1군이다. 후각상피 이외의 다른
조직
에서도 발현되는 후각수용체 다수가 1군이다. 화석을 토대로 재구성해보면 약 3억8500만 년 전 어류가 육지로 진출하려는 시도를 시작했고 3억7500만 년 전 틱타알릭(Tiktaalik)이 마침내 성공했다. 3억6000만 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일으킨다. 코알라의 경우 감염됐을 때 염증유발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해 자신의
조직
까지 손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람의 에이즈 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코알라 레트로바이러스도 심각한 위협인데, 섬에 사는 코알라까지는 아직 퍼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트로바이러스는 게놈이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