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건물 복도 액자 - 대체 암호를 왜 만드는 거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주고받는 기술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 현대 암호 기술 발전을 위해 1977년 세 명의 컴퓨터 과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 아디 샤미르, 레오나르드 아델만은 RSA 암호를 개발한다. RSA 암호는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드는 ‘암호화’와 암호문을 해독하는 ‘복호화’에 각각 다른 키를 사용하는 비대칭 ... ...
- [인터뷰] 호기심의 최전선을 꿈꾼다, 최재경 제8대 고등과학원장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만든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불완전성 정리를 증명한 수학자 쿠르트 괴델, 컴퓨터 발전에 이바지한 수학자 폰 노이만과 앨런 튜링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IAS)에서 연구했다는 점입니다.IAS는 수학, 물리학, 생물학, 역사, 사회 과학 등의 연구자들이 강의나 ... ...
- [특집] 무너지는 복도 - 현대 암호는 수학 난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많은 이차식의 연립방정식을 풀지 못하면 전자서명을 위조할 수 없게 한 것으로, 양자컴퓨터가 구현되면 RSA를 깰 수 있는 쇼어 알고리듬에도 안전하다. 또 이번에 개발한 양자 내성 암호 알고리듬은 국제표준 전자서명 알고리듬보다 30배 이상 빠르며, 다른 양자 내성 암호보다도 속도가 빠르다. 이 ...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동할 때, 또는 돌림힘을 주면서 일정 각도만큼 돌릴 때 소모된다. 책상 앞에 앉아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을 치고 있는 상태라면, 질량 중심의 관점에서는 전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힘과 관련한 어떤 에너지도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 손가락은 돌림힘을 주면서 관절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계속 ... ...
-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받으려면 9시간으로는 부족하다. 가령 전공별로 공부량이 극단적으로 많은 수업이 있다. 컴퓨터과학과에서는 이번 학기에 듣고 있는 ‘CS38’이라는 알고리즘 수업이 힘든 것으로 악명 높다. 9단위 수업인데, 실제로는 강의를 듣고 숙제를 하는 데만 매주 20시간 정도 걸린다. 매주 토요일 아침까지 ... ...
- [기획] 15퍼즐과 루빅스 큐브도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수학동아 l2020년 06호
- 180°, 270° 회전할 수 있어 가능한 배열의 수가 367만 4160가지나 됩니다. MCMC 기법을 적용한 컴퓨터 알고리듬을 만들어서 푼 결과 19회를 기점으로 확률 분포의 차이가 급격히 작아져서 0에 가까워졌습니다. 최소 19회를 섞으면 2×2×2 큐브는 무작위하다고 할 수 있는 거죠!카드 섞기와 전혀 다른 형태의 ... ...
- [한페이지 뉴스] 페로브스카이트로 만든 반구형 인공 눈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구성돼 현재로선 해상도가 매우 낮다. 논문의 제1저자인 구 레이레이 홍콩과기대 전자및컴퓨터공학과 박사는 “인공 눈에 부착한 나노와이어의 밀도를 실제 사람의 광수용체 밀도의 10배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며 “인간의 눈보다 훨씬 나은 분해능을 가진 인공 눈을 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소(Five Gyres Institute)’는 2007~2013년 24회에 걸쳐 세계 주요 환류대에서 표본을 채취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결과, 지구 전체 해양에 약 26만9000t에 이르는 미세플라스틱이 있다고 2014년 12월 10일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습니다. 김 교수는 “해양으로 쏟아지는 미세플라스틱은 ...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말리는 디스플레이, 자발광 퀀텀닷퀀텀닷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분야는 TV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다. 디스플레이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색을 구현하는 성능이 현존하는 다른 소재들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현재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퀀텀닷을 통해 총천연색을 구현하고 ... ...
- [SF에 묻는다] 공각기동대 vs. 생명창조자의 율법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또 다른 작품인 ‘별의 계승자’ 4권 ‘내부우주’에 그런 내용이 나옵니다. 강력한 양자컴퓨터 내부에서 우연히 정보로 이뤄진 우주가 생겼고, 그 속에서 의식 있는 생명체가 살고 있습니다. 이들의 의식이 현실 세계의 육체를 장악하면서 사건이 벌어지죠.그런데 인공지능은 하드웨어에 기반을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