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만들고 위에서 촬영한 것처럼 수정합니다. 지구에서 바라본 우주의 은하들은 이렇게
위치
에 따라 촬영 각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원에 가까운 모습으로 변환해야 나선을 확인하고 그리기 편합니다.이 사진에 시민천문학자가 나선팔의 자취를 그리면 그림과 자취를 분리한 뒤 여러 사람이 그린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
한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극자외선에 의해 손실되는 대기량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이 내뿜는 플레어(고에너지 입자의 폭발)와 중심별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에너지 빛에 의해 외계행성의 대기를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강력한 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력에 의해 두 개의 원자핵이 물리적으로 가까이
위치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핵융합 반응이 일어납니다. 이외에도 태양에서는 수소 원자 4개가 결합해 헬륨을 만드는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고, 핵융합로에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가 결합해 헬륨이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각 여성과 남성의 인간백혈구항원(HLA) 유전자를 분석했다. HLA는 모든 세포의 표면에
위치
해 인체가 자신과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비자기 물질)을 구별하는 분자 집단이다. 연구결과 자궁 경부 점액과 정자의 HLA 유전자형 차이가 클수록 정자의 생존 확률이 높았다. 또한 운동성과 생존 확률을 종합해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보내준 정보를 이용했어요.
위치
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중력가속도로 정확한
위치
를 알아내는 ‘항공 중력 측정법’도 활용했지요. 또, 레이더로 정상에 쌓인 눈의 양도 측정했답니다. 측량팀은 이렇게 모은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반복 검증을 거쳐 정확한 에베레스트산의 높이를 발표할 ... ...
[퍼즐라이프] 해법 없이도 해결! 루빅스 큐브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준비 이동’이라고 부릅니다. 준비 이동을 한 뒤 선택한 공식을 사용하면 큐브 조각의
위치
가 서로 바뀌죠. 그런 뒤 준비 이동의 역공식을 사용하면 바뀐 조각을 이전 조각이 있던 자리로 보낼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방법으로 루빅스 큐브를 직접 맞춰보세요 ... ...
과학동아 12월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세계의 수많은 야생동물이 목숨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학이 나섰습니다. 위성
위치
확인시스템(GPS)을 탑재한 모조 알을 만들어 밀렵꾼의 거래 경로를 추적하고, 코끼리의 행동을 지진계로 분석해 밀렵꾼의 등장을 유추하기도 하죠. 이뿐만이 아닙니다. DNA를 분석해 범죄자를 꼼짝 못하게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만 4000여 개 중 이런 물체만 1만여 개에 이른다.최 책임연구원은 “이 물체들의 정확한
위치
를 알아내는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현재 계획된 군집위성들 때문에 충돌이 빈번히 일어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앞으로 무분별하게 인공위성이 발사될 경우에 대비해 안전이 보장된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색깔이나 교통표지판의 내용을 인식하는 카메라 센서와, 도로의 형태나 보행자의
위치
등 복합적인 환경을 3차원으로 파악하는 시각인지 센서 기술 등이 있다.시각인지 센서로는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LiDAR)가 대표적이다. 라이다는 특정 레이저 신호를 보낸 뒤 반사되는 신호의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색을 인지하는 원뿔세포가 착시를 일으켰기 때문이에요. '원뿔세포는 우리 눈의 망막에
위치
해 색을 인지하는 역할을 해요. 빨강과 노랑, 파랑 세 종류의 수용기로 이뤄져 있는데, 이 수용기가 각각 자극을 받는 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을 구분할 수 있지요. 그런데 검정색과 흰색이 교차로 나타나는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