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실험 중인 일부 핵융합 실험로에는 이미 로봇이 설치돼 있다. 대표적으로 영국에
위치
한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핵융합 실험로인 유럽공동 핵융합연구장치(JET·Joint European Torus)에는 내부 상태를 점검하고 간단한 수리 작업까지 할 수 있는 로봇팔 ‘마스코트(MASCOT)’가 설치됐다. 로봇팔은 블랭킷 ... ...
당신의 역사에 관한 최신 연구 총집합...정자가 난자를 만나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각 여성과 남성의 인간백혈구항원(HLA) 유전자를 분석했다. HLA는 모든 세포의 표면에
위치
해 인체가 자신과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비자기 물질)을 구별하는 분자 집단이다. 연구결과 자궁 경부 점액과 정자의 HLA 유전자형 차이가 클수록 정자의 생존 확률이 높았다. 또한 운동성과 생존 확률을 종합해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색을 인지하는 원뿔세포가 착시를 일으켰기 때문이에요. '원뿔세포는 우리 눈의 망막에
위치
해 색을 인지하는 역할을 해요. 빨강과 노랑, 파랑 세 종류의 수용기로 이뤄져 있는데, 이 수용기가 각각 자극을 받는 비율에 따라 다양한 색을 구분할 수 있지요. 그런데 검정색과 흰색이 교차로 나타나는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781년 3월 27일에 처음으로 발견했어요. 그리고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그
위치
를 확인하고 메시에 목록의 최종본에 수록했지요.이 은하는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커요. 약 1조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보다 두 배 많은 정도예요. 큰 은하답게 중력이 강해 주변에 있는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폴 고갱의 ‘루앙 풍경’과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포도 수확’은 수평선이 비슷한
위치
에 있었습니다.정 교수는 “서양 풍경화의 구도와 구성 비율이 무작위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변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논문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0월 12일자에 실렸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
한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극자외선에 의해 손실되는 대기량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이 내뿜는 플레어(고에너지 입자의 폭발)와 중심별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에너지 빛에 의해 외계행성의 대기를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관심을 두는 이는 없었다. 구상나무 개량종 90품종 이상 개발돼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
한 홍릉숲에 가면 크리스마스 엽서에서 튀어나온 듯한 나무를 볼 수 있다. 자연스러운 원뿔 모양에, 솔잎 길이의 절반 정도 되는 짧고 두툼한 잎이 줄기를 빈틈없이 덮고 있는 나무. 심지어 잎 뒷면은 은빛이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억℃ 플라스마가 만들어지는 거죠.” 끊임없이 진화하는 KSTAR“위-잉, 위-잉”.KSTAR가
위치
한 주장치실은 정체 모를 소음으로 가득했다. 1m 옆에서 KSTAR에 대해 설명하는 김 부장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을 정도였다. 김 부장은 중앙의 거대한 토카막(Tokamak)에 연결된 장치 하나를 가리키며 대답했다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만 4000여 개 중 이런 물체만 1만여 개에 이른다.최 책임연구원은 “이 물체들의 정확한
위치
를 알아내는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현재 계획된 군집위성들 때문에 충돌이 빈번히 일어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앞으로 무분별하게 인공위성이 발사될 경우에 대비해 안전이 보장된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색깔이나 교통표지판의 내용을 인식하는 카메라 센서와, 도로의 형태나 보행자의
위치
등 복합적인 환경을 3차원으로 파악하는 시각인지 센서 기술 등이 있다.시각인지 센서로는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LiDAR)가 대표적이다. 라이다는 특정 레이저 신호를 보낸 뒤 반사되는 신호의 ... ...
이전
77
78
79
80
81
82
83
84
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