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빵 먹고 자란 '도시 갈매기'도 생선 제일 좋아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갈매기가 먹이를 구하러 바다로 나가는 데
에너지
를 쓰는 것이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며 "동물은 도시에 살면서 인간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 행동이 그런 먹이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어린 동물이 섭취한 ... ...
[과기원NOW] UNIST, 짧은 곁가지 고분자 특성 밝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UNIST) 전경.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충기
에너지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짧은 가지가 달린 고분자의 얽힘과 거동을 분석해 다양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분자 수준에서 고분자의 구조적 거동을 이해하고 이를 이론적 분석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상세히 ... ...
"우주 비밀, 모르는 게 더 많다"...힉스 이후 차세대가속기 개발 앞둔 CERN
2024.07.12
질량이 있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며 우주 전체의 96%를 차지하는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
도 설명할 수 없다. FCC는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현상을 설명하려는 '초대칭 이론’ 등에서 예견하는 새로운 입자나 차원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계획대로라면 2040년대 중반에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 ...
日 거대 중성미자 검출기, 우주 비밀 담은 실마리 발견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반중성미자가 물에 부딪히며 생기는 중성자가 가돌리늄 핵에 포획되면 순간적으로
에너지
를 방출한다. 반전자와 중성자가 각각 만든 두 번의 섬광을 기록하면 기존 방법보다 검출 감도가 좋아진다. 검출 감도가 높을수록 중성미자의 기원을 찾아내기 용이하다. 연구팀은 Super-K에서 956일간 모은 ... ...
[과기원NOW] 자연 모방한 금속 결합 촉매, 유해 탄화수소 제거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모방해 새로운 촉매를 만들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이고
에너지
를 덜 사용하면서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방향족 탄화수소를 효과적으로 분해했다. 복잡한 과정이나 높은 온도가 필요하지 않아 환경 보호에 유리하다. 조재흥 교수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금속 촉매 개발에 ... ...
태양광 모듈 패러다임 바꿨다…"해바라기처럼 태양 따라가며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차승일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왼쪽)과 윤민주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도심형 고효율 유연 태양광 모듈’을 개발 ... 통해 전기를 자급자족하는 일상이 펼쳐질 것"이라며 "국가적 이슈인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크게 기여할 성과"라고 밝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5~15.1℃에 이르렀다. 연구자들은 G4D1 에어로젤 벽돌로 외벽을 마감하면 건물 냉방에 드는
에너지
의 68%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지난 4월 6일 쿤밍에서 실시한 G4D1 에어로젤 벽돌의 복사냉각 효과 실험 결과다. 낮에 햇빛이 강할 때는 주변보다 15.1도 낮다. 사이언스 제공 G4D1 에어로젤은 ... ...
'남원 급식 김치 식중독' 미스터리…"김치에서 노로바이러스 번식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구분된다. 박테리아라고도 불리는 세균은 단세포로 이뤄진 아주 작은 생물이다. 스스로
에너지
와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세균은 양분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증식이 가능하다. 반면 세균보다 더 단순한 구조인 바이러스는 DNA, RNA와 같은 핵산과 이를 둘러싼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다 ... ...
2배 빠르게 자가치유되는 고성능 가시광선 반응 3D 프린팅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0
자가치유와 같은 기능을 부여하는 소재다. 일반적으로 결과물 출력을 위해선 상대적으로
에너지
가 높은 자외선이 광원으로 사용되는데 문제는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는 소재에도 자외선을 광원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대략 300~40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범위의 자외선을 광원으로 활용하면 ... ...
9년 지연된 국제핵융합, 민간에 따라잡힐라…"여전히 중요한 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민간의 추격에 대해 ITER 측은 2040년까지는 기업들이 상업화된
에너지
를 생산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다. 피에트로 바라바스키 사무총장은 "핵융합의 실행 가능성이 오늘 증명되더라도 2040년까지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술 실증과 상용화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