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없는 심해에서 광물이 산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6
자연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해 산소를 생산했다는 뜻이다. 약 30억 년 전 지구에서 태양
에너지
와 이산화탄소로 광합성하는 고대 미생물인 시아노박테리아가 등장했다. 광합성으로 산소가 많이 만들어지자 산소를 사용하는 호기성 생물이 등장해 번성했다는 것이 그동안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 ...
분자로 원자 수준 자기장 측정하는 양자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ESR은 스핀의 방향이 위나 아래로 바뀌는 과정에서 방출하는
에너지
크기를 토대로 원자 내부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부착된 분자가 탐침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재료의 ESR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원자 단위에서 얼마나 잘 분석할 수 ... ...
글로벌리더연구·선도연구센터 선정…10년간 4069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림프구의 특성과 기능연구’의 김완욱 가톨릭대 교수가 선정됐다. 공학 분야는 ‘태양
에너지
및 폐열 활용을 위한 고발전량 근접장 열광전변환 모듈’의 이봉재 KAIST 교수, ‘인체공학적 전자소자용한계극복형 차세대 전도성 고분자 개발’의 김범준 KAIST 교수가 선정됐다. 정보통신기술(ICT ... ...
한여름 냉방
에너지
절감할 오색빛깔 복사냉각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통한 열 관리는 필수적이다. 전력을 소비하는 냉각 방식은 기후변화를 악화시킬 수 있어
에너지
를 쓰지 않는 '복사냉각' 방식이 에어컨을 보조할 친환경 냉각 기술로 주목받는다. 복사냉각 기술은 대기에 흡수되지 않는 8~13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파장의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흡수·방출해 ... ...
[과기원NOW] 값싼 촉매로 ‘저비용 고효율 그린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비백금계 금속 촉매를 이용해 새로운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기술을 제시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승걸 ... 계산하는 밀도범함수이론(DFT)을 통해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6월 2일 온라인 게재됐다 ... ...
티타늄 빔 쏴서 미지의 '120번 원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확률은 크게 달라진다. 재클린 게이츠 LBNL 중원소그룹 리더는 "핵융합에 적합한 이온
에너지
수준을 고르는 것은 과학이라기보다 예술에 가깝다"고 밝혔다. 아직 초중량 원소를 만들기 위한 '최적의
에너지
'를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LBNL 연구팀은 칼리포늄에 티타늄 빔을 쏴 120번 ... ...
'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이 메커니즘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에너지
대사 및 사멸에 관여하는 세포의 작은 기관이다. 세포핵과 독립적으로 자체 DNA를 가지고 있으며 돌연변이도 발생할 수 있다. 돌연변이를 정밀하게 찾아내는 데 필수적인 단일세포 전장유전체 기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우드-융달 경로를 이루는 유전자 세트가 없다. 진화 과정에서 생체분자 재료를 만들고
에너지
를 얻는 여러 방법이 발명되면서 둘 다 가능하지만 효율이 떨어지는 우드-융달 경로 유전자가 사라진 것이다. 한편 42억 년 전 루카가 유일한 생명체일 가능성은 작다. 아세토젠인 루카가 내놓는 ... ...
'물리학 109년 난제' 풀었다…미시세계 변화, 거시세계에 전달되는 과정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4
SrRuO3에 높은
에너지
를 가진 빛을 조사하자 스핀이 정렬되며 물질의 자성이 바뀌고 열
에너지
를 가진 카이랄 열포논이 생성됐다. 카이랄 열포논은 비자성 물질인 SrTiO3으로 전달돼 거시세계 물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연구팀은 물질의 자성 특성을 펨토초(fs, 1000조분의 ... ...
초전도체 주장 LK-99 검증 '재점화'…권영완 "고순도 샘플 제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는 지난해 7월 이석배 퀀텀
에너지
연구소 대표, 김지훈 연구소장 등과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린 LK-99 관련 논문을 논문사전공개사이트 '아카이브'에 게재했다. 이후 이들 연구진은 권 교수가 다른 공동저자들의 동의 없이 논문을 발표했다는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