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면
전방
앞면
앞
프런트
전
이전
뉴스
"
앞쪽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2시간 걸리던 치매 선별 검사...뇌파 이용해 고통없이 5분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줄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김재욱 미래의학부 책임연구원팀이 이마
앞쪽
에 위치한 전전두엽 뇌파 측정만으로 치매 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체항노화표준연구원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치매 선별 검사에는 ... ...
치료 어려운 방광암, 로봇수술 이점 많다
연합뉴스
l
2019.07.11
되는데, 원래의 요도로 소변을 볼 수 있게 만드는 인공방광술(신방광조형술)과 복벽(뱃속
앞쪽
의 벽)의 요루(요로 샛길)를 통해 소변을 배출하게 되는 요루전환술(회장도관술)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인공방광술과 요루전환술에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인공방광으로 수술을 받게 되면 원래의 ... ...
‘신의 입자’ 입증한 CERN, 업그레이드 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2023년부터 시작되는 고광도 LHC 업그레이드에서 CMS에서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검출기
앞쪽
부분을 한국 CMS팀이 생산하고 설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뮤온 압축 솔레노이드(CMS)에 들어간 RPC 검출기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김태정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스위스 메헝= 이영혜 기자 여기에는 RPC ... ...
[프리미엄 리포트]첫 도입된 버스 공공 와이파이 써보니
과학동아
l
2019.05.11
대구 시내버스 503번 버스 앞문 위쪽에 설치된 무선 라우터. 버스의 한 가운데가 아닌
앞쪽
에 설치된 이유는 전원공급 장치가 버스 앞부분에 있기 때문이다. 서동준 기자 승객이 늘어날 때 속도나 보안보다 더 걱정스러운 점은 용량이다. 버스 공공 와이파이는 버스 한 대당 매달 100GB만 ... ...
내 머릿속에 짧은 순간의 리듬·박자 변화 인지하는 '시간지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빠른 비트의 음악 리듬처럼 1초 안팎의 짧은 시간 차를 인지하는 뇌 영역이 발견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쿵쿵 쿵쿠쿵 쿠쿵쿵'. 빠른 비트의 음악에서 미세하게 다른 박자와 리듬을 인지하거나, 신호등 파란불이 깜빡거리다가 언제 빨간불로 변할지 예상하는 등 우리 뇌는 어떻게 짧은 시간동안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부분이 귀처럼 양쪽으로 나뉘어 이런 이름을 얻었습니다. 머리의 양쪽 끝에 콧구멍이
앞쪽
을, 두 눈은 각각 왼쪽과 오른쪽을 향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머리는 언뜻 괴상해 보이지만 먹이를 찾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왼쪽 콧구멍과 오른쪽 콧구멍이 맡는 냄새의 세기 차이로 먹이의 위치를 파악할 ... ...
[이강운의 곤충記]아가미 있는 곤충의 겨울나기
2019.02.20
모양의 기관아가미를 갖고 있다. 잠자리 애벌레는 외부의 기관아가미가 아닌 몸 안 직장
앞쪽
으로 팽창한 아가미방을 만들어 몸 구석구석 퍼져있는 기관들과 연결되어 있다. 파리 종류인 각다귀 애벌레는 산소를 들여 마실 때만 열리는 폐쇄된 숨구멍아가미와 고도로 분포된 혈관을 연결하여 ... ...
이온풍 항공기부터 드론 교통로까지,'항공 무식자'를 위한 최신 안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25
서울에서 뉴욕까지 3시간 만에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앞부분이 얇고 긴 모양으로 생겨서
앞쪽
에 만들어지는 충격파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뒤쪽에 보조날개를 달아 꼬리쪽에 모인 충격파가 더 잘 흩어지도록 했습니다. 덕분에 X-플레인의 소음이 자동차 문 닫는 소리 정도인 75dB(데시벨) 정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배아세포들은 어떻게 자기 자리를 찾아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23
70%가량 사람과 같아 발생학 연구 많이 사용된다. 연구진은 제브라피쉬의 머리가 될 부위(
앞쪽
)에서 꼬리가 될 부위(뒤쪽)를 잇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배아세포들이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을 밝혔다. 연구진은 배아세포가 처음 5시간 안에 꼬리 쪽 부위에서 신장이나 심장 등으로 분화되는 ... ...
생체리듬 바꾸려면?...신경세포 2000개만 조절하면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SCN)이 빛과 반응해 결정된다. SCN은 시신경이 교차해 뇌로 들어가는 길목인 뇌 중심부
앞쪽
말단에 위치한다. 사람과 쥐의 SCN은 뇌 크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두 약 2만 개의 신경세포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갑자기 낮과 밤의 패턴이 뒤바뀐 경우처럼 생체리듬이 바뀔 때 우리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