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면
전방
앞면
앞
프런트
전
이전
뉴스
"
앞쪽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전전두엽 피질 등이 통증과 쾌락 모두에서 반응했다. 영역마다 역할은 조금씩 달랐다.
앞쪽
복측 뇌섬엽과 편도체의 오른쪽 복측, 왼쪽 배측 영역은 감정의 강도를 예측하고 편도체의 왼쪽 중심 내측과 오른쪽 표면측 영역, 복내측 전전두엽피질은 감정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예측하는 데 중요한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다양한 공기돌풍을 쏘면서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를 확인했다. 그 결과 날개
앞쪽
과 다리 가장자리 부분 깃털에 공기 압력이 가해졌을 때 특정한 신경세포 군집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뇌의 신호를 보내는 모습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특히 날개 가장자리에 가해진 자극에 반응하는 신경세포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
과학동아
l
2024.04.20
뇌는 전전두엽피질과 편도체도 아직 조화롭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다. 전두엽에서도
앞쪽
에 있는 전전두엽피질은 우리 뇌에서 충동성을 억제하고 이성적 판단을 담당한다. 편도체는 공포나 불안을 야기해 위험하거나 잘못된 상황에 부닥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전전두엽피질의 뇌세포는 ... ...
눈에 간세포 이식해 간 건강 손쉽게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창'이 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선 3차원으로 배양된 간세포인 '스페로이드'를 눈의
앞쪽
에 이식했다. 이식된 스페로이드는 일반적인 간세포처럼 기능했다. 예를 들어 고지방 식단을 섭취했을 때 일반적인 간에 담긴 세포와 같은 방식으로 지방이 저장됐다. 지방간 질환의 위험성을 가늠하는 표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퇴화하면 뇌척수액 배출 기능이 저하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뇌의
앞쪽
과 중간 부위 뇌척수액이 배출되는 경로까지 찾았다. 실험용 생쥐의 척수액에 형광물질을 주입한 뒤 생쥐의 두뇌를 관찰했다. 뇌척수액은 목 안쪽 점막 내에 있는 말 안장을 뒤집어놓은 모양의 림프관망으로 ... ...
인간 의식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두번째 결론 곧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사진을 보는 동안 뇌의 후측 피질에선 지속적으로 신호가 감지됐다. 반면 뇌의
앞쪽
에선 이미지를 보는 순간 강한 신호가 순간적으로 발생했다가 사그라드는 모습이 관측됐다. ● 또다른 검증 실험 착수 학계는 첫번째 실험 결과만으로 통합정보이론의 완전한 승리를 선언할 수 없다고 본다. ... ...
뇌 속 노폐물 배출 지도 완성…치매 등 뇌질환 연구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뇌척수액 배출 기능이 저하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뇌의
앞쪽
과 중간 부위의 뇌척수액 배출 경로가 밝혀졌다. 특히 코 뒤쪽 부위인 비인두(목 안쪽) 점막 림프관망이 뇌척수액이 모이는 일종의 '허브' 역할을 하며 림프관망과 목 림프관, 목 림프절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둥글고 피부는 축축하고 매끈합니다. 또 도롱뇽의 발가락 개수는 다리에 따라 달라요.
앞쪽
두 다리의 발가락은 4개, 뒤쪽 두 다리의 발가락은 5개입니다. 도룡뇽 멸종위기. 위키피디아 제공 ● 도롱뇽 5종 중 3종은 멸종 위기? 2023년 10월 4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제니퍼 루츠케 박사팀은 도롱뇽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학자다. 그는 눈 외부에 공막과 각막이 있고, 중심에 액체가 들어 있는 동공에 의해
앞쪽
으로 경계를 이루는 내부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다. 또 시각 매체로 여겨지는 특별한 액체가 눈에서 뇌로 흐르는 관을 통해 눈이 뇌에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의 ... ...
[헷갈린 과학] 줄의 개수가 달라요 가야금 VS 거문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1.25
영상 캡처 ● 거문고 거문고는 6개의 명주실을 튕겨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줄이 달린
앞쪽
판은 오동나무로 뒤쪽 판은 밤나무로 만들죠. 나무로 만든 술대로 줄을 내려쳐 연주합니다. 가야금보다 줄이 굵어 더 낮은 음을 냅니다. 거문고에는 연주자를 기준으로 두 번째부터 네 번째 줄 사이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