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홀수"(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2개일 때를 완전히 해결합니다. OP(4, 5)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a1이 짝수고, a2가 홀수면 항상 환상적인 자리 배치법이 있다는걸 보였지요. 하지만 테이블이 3개만 넘어도 답이 있는지 없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2018년 6월 영국 버밍엄대학교 스테판 글록 박사, 펠릭스 요오스 박사, 김재훈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대칭인 칸에 퀸을 놓습니다(❸). 이렇게 놓으면 먼저 놓은 퀸의 경로를 피하면서 동시에 홀수 번째 차례에 항상 퀸을 놓을 수 있으므로 게임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모든 방법을 찾아라상대방과 겨루는 ‘n-퀸즈 게임’과 달리 ‘n-퀸즈 퍼즐’은 가로세로 n칸인 체스판 위에 퀸 n개를 규칙에 맞게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1 12)(11 15)(11 16)으로 나타낼 수 있지요. 결국, (6 7 10)(11 16 15 12)로 나타낸 순열은 각각 짝수, 홀수 개 호환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체는 짝순열+홀순열=홀순열인 셈입니다. 모든 준비가 끝났어요. 이제 어떤 배열을 표준 배열로 바꿀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정리를 소개 할게요. 이 정리는 미국의 수학자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다트 보드의 7, 19, 3, 17이 모여 있는 곳을 겨냥하면 별다른 위험을 감수하지 않아도 홀수를 맞힐 수 있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지요. 8과 16이 붙어 있으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28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14점 더블을 향해 던진 다트가 빗나가 11점이나 9점 영역을 맞히면 다시 새로운 점수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방법은 간단합니다. 보내려는 데이터에 1이 짝수 개 있다면 데이터 마지막에 1을 붙이고, 홀수 개 있다면 마지막에 0을 붙여봅시다. 예를 들어 5비트인 데이터 ‘10100’을 전달하고 싶다면 ‘101001’을, ‘11100’을 전달하고 싶다면 ‘111000’을 보내는 겁니다. 만약 데이터를 받았는데, ‘111111’, ‘10100 ...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4번 방, 3번 방에 묵고있는 손님은 6번 방으로 옮기는 식이다. 그러면 1, 3, 5와 같이 번호가 홀수인 방이 무한히 많이 남는다. 이 방에 새로운 손님이 묵으면 된다. 무한히 많은 손님이 묵을 방을 계속 찾아낼 수 있는 이유는 손님을 ‘셀 수 있기 때문’이다. 셀 수 있다는 건 손님에게 자연수 1, 2, 3, ...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1937년 독일 수학자 로타르 콜라츠가 제시한 문제로, 어떤 자연수든지 짝수면 2로 나누고 홀수면 3을 곱한 뒤 1을 더하다 보면 결국 1이 된다는 추측이에요. 예를들어 3은 7번(3→10→5→16→8→4→2→1)만에 1이 되지요.간단한 것 같지만 27은 무려 111번을 반복해야 1이 돼요. 벨로스는 수학예술가 에드먼드 ...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보수적 공약을 내죠. 투표 결과도 50% 내외에서 큰 차이 없이 나타납니다. 후보자가 홀수일 때는 외톨이가 돼야세 명이 대결할 때는 균형이 여럿입니다. 그림➋처럼 선분을 이등분해 나진보는 왼쪽, 나보수와 장보수는 오른쪽에 있다고 해봅시다. 나보수는 나진보와 장보수 사이에서 움직여봐야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여러 개의 해밍부호가 붙는다. 결국 해밍부호를 써서 메시지를 보냈을 때 2진수의 합이 홀수면 오류가 있다는 뜻이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Part 1. 웰컴 투 매스잼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나왔을 확률이 1/3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똑같은 논리로 마구잡이 실험에서도 주사위가 홀수 눈이 나왔을 확률이 1/3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왕자님의 답 1/2이 맞다고 확신할 수 있습니까?”의미심장한 말을 남긴 채 복제 전문가는 또 다시 사라졌습니다. 이제 결정은 독자의 몫으로 남았습니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