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3] 수학으로 e스포츠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5000여 명이 응집해 열띤 응원을 펼쳤다. 특히 T1 소속 프로게이머 이상혁(페이커)이 2016년 이후 7년 만의 우승이자 국제 경기 최초로 통산 4번째 우승을 거머쥐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LoL, 롤) 팬들은 더욱 열광했다. 그런데 수학을 활용하면 롤을 비롯해 배틀그라운드, 던전앤파이터, 서든어택 등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위치에 있어요. 5일째 거리를 측정할 때 시각이 오후 9시 59분이기 때문에, 4일째 오후 10시 이후에 관측한 거리와 같을 거예요. 날짜별 기록을 오후 10시 1분을 기준으로 정리해 나열하면 100, 93, 86, 72, 51, 16, -40이 돼요. 3일째까지만 보면, 토끼 행성과 지구와의 거리는 100 - 7(n - 1) = 107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각각 사물이 어떤 물체인지 혹은 주행 가능한 영역은 어디인지 판단하는 단계입니다. 이후 로봇은 목적지까지 적절한 경로를 찾고 장애물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면 회피하는 등 움직임을 알맞게 제어하는 과정을 거쳐요. 각 장비들끼리 서로를 보완하며 작동하듯이, 측위, 인지, 제어 과정에서도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 9.6만 명)우주 바깥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으로부터 약 138억 년 전 일어난 빅뱅 이후, 우주는 감히 우리가 넘볼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졌습니다. 아직까지 우리가 가지도, 보지도 못한 그 미지의 세계에는 도대체 무엇이 있는지, 우주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파헤쳐 봅니다. ● 배달로봇 ... ...
- 좋은 타구 나타내는 지표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역시 달라서 배럴 타구 기준에 미치기 어렵다. 또 MLB에서는 배럴 타구 개념을 도입한 이후 속도에 따른 최적의 발사 각도를 찾기 위한 훈련을 진행해 왔지만, KBO는 아니다. 물론 배럴 타구는 KBO 경기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지난해 11월 8일 치러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배럴 타구로 LG 트윈스가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선수가 평소처럼 154km/h로 던진 공이 우연히 야구장을 지나가던 비둘기에 맞은 것이다. 이후 이 사건을 계산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물리학 커뮤니티인 ‘피직스포럼’의 네티즌 quora는 분자가 자유 운동할 때 다른 분자와 충돌하기까지의 평균 거리인 ‘평균 자유 거리’ 공식을 이용했다. 그리고 ...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사진을 모아 인간의 폐기물로 된 ‘인공 껍질’을 가진 386마리의 집게를 식별했다. 이후 이들의 종과 집의 종류를 구분했다. 그 결과 인공 껍질은 태평양, 대서양 등 전 세계 바다에서 쓰이고 있었다. 육지 집게 16종 중 10종에서 인공 껍질이 관찰됐고, 특히 플라스틱 껍질은 전체의 84.5%를 차지할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4(시속 1489km)의 속도를 75dB(데시벨)의 저소음으로 날 수 있다는 X-59는 과연 콩코드의 은퇴 이후 잠잠해진 초음속 여객기 시대를 다시 열 수 있을까. 유럽이나 미국처럼 먼 곳을 비행기로 여행해 본 적 있는가. 한나절 넘게 좁은 좌석에 꼼짝없이 갇혀있다 착륙하면 피곤으로 온몸이 기진맥진한다.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어린이 시기를 거치면서 수용체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청소년기에 가장 많아지고, 이후 스무살을 넘기면 완만하게 감소한다. 같은 양의 도파민이 나오더라도 도파민 수용체가 많으면 더 큰 쾌감을 느낄 수 있으니, 청소년의 뇌가 자극에 민감한 건 어쩌면 당연하다. 억제를 억제하는 뇌, 자극적 ... ...
- [과학뉴스]작고 빠른 소금쟁이 로봇 비결은 형상기억합금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액추에이터의 소재는 형상기억합금을 썼다. 형상기억합금은 가열하면 모양이 변하고, 이후 온도 등 조건이 맞으면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간다.연구팀은 매우 얇은 형상기억합금 전선으로 액추에이터를 만들었다. 전선에 전류를 통하게 해, 전선의 온도를 변화시키며 로봇을 움직이게 만든 것이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