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성장형 평가제도’가 더 필요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편집자주. ‘R&D 예산 삭감’ 사태
이후
로 과학계가 시끌시끌합니다. 도대체 무슨 일일까요. 상황을 이해하려면 과학정책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만화와 함께 과학정책에 쉽게 접근해보려 합니다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하길 원하면서 다시 방황했습니다. 결국 전자음악을 작곡한 음반으로 2014년에 데뷔했죠.
이후
현재까지 뉴미디어 아트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학점은행제로 남은 학사 과정을 마무리하고 아트&테크놀로지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석사 학위를 받은 논문도 ... ...
[과학뉴스] 태양의 500조 배 역대 최대 밝기 등극한 퀘이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2023년 호주 사이딩 스프링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이 천체가 퀘이사임을 확인했다.
이후
유럽남방천문대(ESO)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서 운용 중인 거대망원경(VLT)의 분광기로 추가 관측을 진행했다. 거리와 질량을 분석한 결과 J0529-4351이 지금까지 관찰된 퀘이사 중 가장 밝은 것으로 밝혀졌다. J0529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인공지능(AI)과 뇌를 연결해 인간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엄청난 포부를 보였다.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뉴럴링크는 2019년, 2년 만에 그간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doi: 10.2196/16194 2021년 4월에는 뇌에 칩을 이식한 원숭이가 뇌파만으로 ‘퐁’이라는 고전 게임을 하는 유튜브 영상을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후처리 과정을 통해 유의미한 수치들만 걸러내는 작업을 거친다.
이후
수치를 한눈에 잘 알아볼 수 있도록 그래픽으로 만들어 기상 예측 정보를 내놓는다. 그런데 이렇게 만든 모형으로 기상을 예측하려면 아주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10일 동안의 기상을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왼쪽 해안선과 남아메리카 대륙의 오른쪽 해안선이 퍼즐처럼 맞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그는 모든 대륙이 과거에는 커다란 한 덩어리(판게아)였다는 ‘대륙 이동설’을 주장했다. 1960년대 들어 과학자들은 대륙이동설보다 훨씬 자세히 지질 활동을 설명하는 ‘판 구조론’을 세웠다. 전 ... ...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처리해 태풍에 대해 예보한다. 슈퍼컴퓨터의 예측 결과는 예보관에게 전해진다.
이후
여러 명의 예보관이 결과를 보면서 각 지역의 날씨에 대한 경험 등을 종합해 최종 기상예보를 내놓는다 ... ...
수학은 명탐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분석 프로그램인 ‘라이젤’을 만들었다. 라이젤은 세계 각지의 수사 기관에서 쓰인다.
이후
라이젤 외에도 여러 지리적 프로파일링 프로그램이 생겨났다. 2009년 우리나라도 인구 밀도가 높은 특성에 맞춰 ‘지오프로스’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범죄 예측하는 반응-확산 방정식 범죄가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달콤한 간식을 많이 먹는 데 익숙해지면,
이후
엔 더 많은 양을 먹어야 기분이 개선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는 뜻이다. 몸 속 세로토닌의 양도 적당히 조절될 때 행복감을 느낄 수 있지, 균형이 깨지면 우울감 등을 유발한다. 김 교수는 “우리 몸은 수많은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doi: 10.1126/sciadv.abf1798 모든 인간은 뼈 형성 단백질(BMP)의 영향으로 유치와 영구치가 자란
이후
에도 치아가 날 수 있는 씨앗, ‘치배’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USAG-1이라는 단백질이 BMP를 무력화한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실제로 쥐와 페럿으로 실험했을 때 USAG-1 단백질을 억제한 동물은 BMP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