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마셨는지도 추측할 수 있다. 김 연구관은 “알코올 의존증 치료약물을 복용했다면 복용 이후 알코올 섭취가 줄어 해당 기간동안 모발에서 에틸 글루쿠로나이드가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면서 “알코올 중독으로 치료명령을 받은 대상자의 머리카락에서 에틸 글루쿠로나이드가 검출된다면 이는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중반 이후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등 경제적인 성장에 뚜렷한 성과를 낸 이후부터입니다. 한국 최초 순수이론기초과학 연구기관인 고등과학원(KIAS)이 1996년 10월 설립됐습니다. 2011년에는 기초과학연구원(IBS)도 설립됐습니다. 두 기관 모두 노벨상에 대한 강한 열망이 설립의 큰 동력이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수많은 디지털 콘텐츠 중에서도 특히 DOI가 널리 쓰이는 곳은 학술 논문입니다. 2010년대 이후로 수많은 논문에 DOI 번호가 붙어서 출판되고 있습니다. 학술 단체나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문을 발표할 때 DOI를 넣기를 권장하기도 하죠. 논문의 경우 실물 학술지가 아닌 인터넷으로만 논문을 ... ...
- [이달의 과학사] 1861년 1월 15일, 승객을 위한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안전합니다, 여러분. 안전해요!” 1854년,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오티스는 뉴욕 세계박람회에서 자신이 발명한 엘리베이터를 관중에 ... 수 있었습니다. 오티스가 만든 엘리베이터는 1861년 1월 15일 특허 승인을 받았어요. 이후 사람들은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위생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특히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은 증상이 발생한 이후 20일까지 다른 사람에게 세균을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며 “마스크를 쓰고, 손을 잘 씻는 등 예방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 에필로그 네로는 각종 약을 처방받으며 절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가 실험실에서 물과 염소 가스를 결합시켜 처음으로 만들었어요. 이후 100년이 훌쩍 더 지난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자연 상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처음 발견됩니다. 곧이어 수심 300m 이상의 깊은 해저에서도 다량 발견되지요. 전 세계에 매장된 ... ...
-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학자들이 종교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학문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고, 이후 프랑스 과학 발달에 큰 역할을 했었다. 또한 살롱에서 정보 교류의 일환으로 소책자를 만들었는데, 이 책자를 오늘날 ‘사이언스지’, ‘네이처’ 같은 과학 학술지의 시작으로 볼 수 있다. 수학에도 심취한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간격이 7000만에서 4680까지 줄어드는 성과가 났다. 짧은 기간 동안 모든 걸 불태운 탓인지 이후 3개월 동안 진척이 없었다. 그러던 11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갓 받은 젊은 수학자 제임스 메이나드(현재 옥스퍼드대 교수)가 독자적으로 연구해 소수의 간격을 600까지 끌어내렸다는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허먼 홀러리스는 전자 기계가 읽고 계산을 할 수 있는 천공카드 시스템을 발명했고, 이후로 초기 컴퓨터에서는 천공카드가 정보 저장 방식으로 널리 쓰였다. < 빛 > 정보 밀도: 4.13×105bits/mm31982년, 일본 기업 소니는 네덜란드 기업 필립스와 합작 연구한 광학 정보 저장 매체인 ‘CD(Compact disc)’를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공영 라디오 프로그램인 ‘리빙 온 어스’에서 “큰돌고래 역시 옹알이를 하며, 출생 이후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언어를 배운다”고 설명했습니다. 언어정보학의 측면에서, 돌고래가 언어를 사용한다고 본 겁니다. AI를 활용한 소리 분석 동물과의 진짜 대화를 꿈꾸며 동물 소리에 담긴 의미를 알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