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암석
바위
암벽
돌
d라이브러리
"
암반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오징어류는 수심 10m 이내의 바위 밑에 물이 잘 흐르는 곳에, 문어는 수심 10~30m의
암반
굴속에 각각 알을 낳는다.또 동해 연안 생태계를 잘 보존하고 있는 곳이 독도 해역이다. 독립문바위 주변 동도 동쪽 가장자리에는 모자반류, 감태, 대황 같은 대형 갈조류가 해조숲을 이루고 놀래미, 볼락류 같은 ... ...
지구의 '속살' 맨틀을 파고드는 지큐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안쪽의 빈 공간에 시료를 채취한다. 드릴에는 다이아몬드 날이 달려 아무리 단단한
암반
도 갈아낼 수 있다.01 드릴에 연결하는 연장 파이프. 드릴이 깊이 들어가면 파이프를 추가로 연결해 드릴을 제어한다.02 라이저시스템에 사용하는 특수 드릴. 네 개의 날이 회전하며 땅을 뚫고 안쪽에 있는 작은 ... ...
로마 '트레비 분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다시 위로 올리는 일이 가능했다. 반대로 지하수로를 만들다가 뚫기 힘든 단단한
암반
을 만나면 수로를 위로 올렸다가 내리기도 했다.트레비 분수에 물을 공급하는 아쿠아 베르지네 수로는 로마에서 7번째로 만들어진 수로다. 이 수로는 아그리파 황제가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은 아그리파 목욕장에 ... ...
강원도 발 지진파 주말 저녁을 흔들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지반의 특성으로 결정된다. 토사와 같은 연약한 층으로 구성된 지반일 경우 지진파는
암반
과 지표 사이에서 계속 반사된다. 그러면 지반의 흔들림은 특정진동수를 가지며 증폭된다. 이를 ‘지반증폭’ 현상이라 한다.건물은 높이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갖는데, 보통 층수가 높아지면 고유진동수는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생수의 진실3_ 상표마다 물맛이 모두 다르다?‘현무암질의 천연 화석층을 통과한 화산
암반
수’ ‘알프스의 지하암석층에서 끌어올린 천연광천수’ ‘수만년 전 만들어진 빙하에서 채취한 물’처럼 같은 생수라도 물의 태생은 모두 다르다. 생수의 종류는 크게 광천수(mineral water)와 용천수(spring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일반적인
암반
층에 놓일 경우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정도다.물론 매우 연약한
암반
이나 흙에 위치하면 로봇의 무게 때문에 지지력이 부족하거나 지반이 가라앉으면서 기지 구조물에 균열이 생기거나 변형될 수 있다. 보통 땅을 파면 지하수가 흐르고 있는데, 이 지하수 때문에 생기는 ... ...
순식간에 산이 130km 움직였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전문지 ‘지올로지’ 3월호에 실렸다.아하로노브 박사는 “하트산 이동의 숨은 열쇠는
암반
층에 갇혀 있는 대수층”이라며 “지하에 있던 다량의 용암이 짧은 시간에 물이 들어있는 대수층으로 몰려들었다”고 말했다. 용암이 암석의 균열을 따라 이 층으로 흘러들면서 물과 바위가 동시에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모래층처럼 입자가 크고 균질하면 물이 방해를 덜 받아 빨리 흐를 수 있지만, 진흙이나
암반
층처럼 입자가 매우 작거나 빈 공간이 없으면 느리게 흐른다. 빗물이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 뒤에 느리게 흐를수록 땅속에 더 오래 머무르게 된다. 땅속에 머문 시간이 바로 지하수의 ‘나이’인 셈이다. ... ...
돌개구멍이 만든 조각 공원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나뭇잎을 포개 놓은 모양과 같다고 해서 지질학 용어로 ‘엽리’(葉理)라고 한다. 가평천
암반
이 같은 종류의 편마암으로 이뤄진 것도 돌개구멍이 발달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 보인다.일본에서는 돌개구멍으로 유명한 기소강 일대 포트홀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으며 스위스 루체른 ... ...
되돌릴 수 없는 석굴암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5호
아래로 흘러 석굴암 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지하수로 차가워진
암반
은 아래쪽에만 이슬이 맺히고 위쪽에는 항상 4~10℃를 유지하여 습기가 차지 않도록 했습니다.하지만 일제 시대에 일본인들이 석굴암을 보수하던 중 지하수의 물줄기를 바깥쪽으로 돌려놓는 바람에 오히려 그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