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록"(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과학동아 l2009년 04호
- ‘조선조 사고의 장서관리’란 논문에 따르면 조선시대(1392~1910년)에는 사고에 보관된 실록을 말리는 포쇄를 311번 시행했다.조선 숙종 때 실학자 홍만선이 농업과 일상생활에 대해 다양한 사실을 기술한 백과사전 ‘산림경제’(山林經濟)에는 서화를 보관할 때 운향(蕓香), 사향(麝香), 장뇌(樟腦) ... ...
- 해저지층, 해양 동식물 샘플 보관에서 대여까지과학동아 l2008년 12호
- 2006년 한국문화연구소와 통합돼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이 됐다. 현재 규장각에는 조선왕조실록 같은 조선왕실의 고문서나 도서, 국보와 보물지정 자료 총 26만여 점이 보관돼 있다. 역사학자들은 이곳에 잠자고 있는 수많은 자료를 분석해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알아내는데 여념이 없다. 이들에게 ... ...
- 이역만리 조선에 전해진 천리경과학동아 l2007년 10호
- 망원경과 그 원리를 다룬 ‘원경설’이 포함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에서 망원경에 관한 기록은 영조 시대까지 거의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다. 숙종 때 딱 한번 등장하지만 청나라 관리가 망원경을 갖고 다니면서 지형을 살핀다는 부러움을 표현한 보고였다.조선에서는 1 ... ...
- 보면 오래 사는 별 노인성과학동아 l2007년 09호
- 고려시대부터 왕실에서 노인성 제사를 자주 지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였다.노인성을 관측했다는 보고는 국왕의 장수를 기원하고 축하한다는 의미가 있었기에 노인성을 봤다는 거짓보고도 있었다. 고려 의종(1146~1170년) 때 서해도(황해도) 안렴사 ...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과학동아 l2007년 02호
- 궁을 옮기는 책임을 맡게 된 직책. 이직과 신극례가 이 직책에 임명됐다고 태종실록 4년 9월 1일에 기록돼 있다.*확산반사표면이 고르지 않은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돼 나가는 현상으로 ‘난반사’라고도 한다.*소핏실내연주공간에서 발코니 하단을 지칭하며, 소리의 반사를 ... ...
- 녹둔도에 가고 싶다과학동아 l2006년 06호
- 섬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였다. 함경북도 조산에서 녹둔도를 관찰한 조선인이 ‘세종실록지리지’에 녹둔도를 섬으로 기록할만했다.역사적인 개념인 녹둔도를 현재 러시아 행정지도에 표기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아국여지도’의 기록에 따르면 녹둔도는 남북 70리(약 27.51km), 동서 30리(약 11.7 ... ...
- 조선의 기계식 시계 '자격루'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5호
- 사라져 아쉬움을 주고 있습니다. 자격루의 진면목은 바로 없어진 시보장치였으니까요. 실록에 남아있는 기록에 따르면 자격루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정확히 한 시간이 지나면 파수호에서 흘러나온 물이 수수호로 들어갑니다. 수수호 안의 살대가 떠오르면 그 부력이 지렛대와 쇠구슬에 ...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지진해일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자. 우리나라 해안에서의 해일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 비교적 상세히 수록돼 있다. 해일은 보통 지진에 의한 지진해일과 바람에 의한 폭풍해일로 나눌 수 있는데, 역사기록에서는 이를 구별하기 쉽지 않다. 조선시대 이래 우리나라 연안에서 기록된 해일은 총 48회에 ...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과학동아 l2004년 07호
- 1천8백97회에 이른다. 그렇다면 이 중 어느 지진이 가장 강력했을까. 이 교수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1643년 7월 24일 울산근처에서 일어난 지진을 꼽는데, 진도 X으로 추정하고 있다.이 교수는 “이 지진은 서울과 전라도에서도 느껴졌으며 대구, 안동, 영덕, 김해 등지에서는 봉화대와 성가퀴가 ...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과학동아 l2004년 06호
- 사용된 편경의 ‘ㄱ’자 모양은 하늘이 굽어 땅을 덮는 형상이라고 한다. 세종장헌대왕실록이나 악학궤범의 기록을 보면 경의 크기는 모두 같고 두께로 음의 높낮이를 조정한다고 나와있다.편경은 모두 16개의 경석으로 이뤄져있는데 각각의 경석에는 율명, 즉 음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 이것이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