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록"(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그런데 갑자기 비바람이 불면서 천둥 번개가 치기 시작 하는 거야. 그러더니 조선왕조실록에서 쓰여 있는 것처럼 용이 승천하는 모습이 보였어. ‘용이다 용!’ 하고 나도 모르게 소리쳤지. 그런데 알고 보니 용오름이라는 기상현상이지 뭐야! 용이 승천하기 때문에 용오름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있다. 임진왜란에도 조선왕조실록을 지켰던 곳이다. 경기전이 없었다면 임란 이전의 실록이 모두 사라졌을 것이다. 부안 구암리를 하늘에서 보면 선사시대 조상들의 흔적인 고인돌이 독특하게 배치된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변산반도 줄포리에 가면 제2대 부통령인 인촌 김성수가 살던 김상만 ... ...
-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과학동아 l2011년 09호
- 관측하지 못했을 수 있다. 구름에 가려졌을 때 말이다. 이 교수는 ‘조선왕조실록’과 ‘ 승정원일기 ’ 등의 기록을 토대로 실제로 이 시기에 서울에서 월식이 관측됐는지 알아봤다. 그는 ‘승정원일기’ 제1719책에서 “정조 18년(1793년) 7월 병오(15)일 밤 이경에서 사경까지(밤 9시~새벽 3시) 월식이 ...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들어갔다는 언론보도를 본 적이 있다. 반면 밀랍을 바르지 않은, 순수한 한지로 만든 실록은 지금까지 잘 보관되고 있다.생명체가 최대의 적이런 원칙은 한지로 만든 고려, 조선시대 서책이나 미술작품도 마찬가지다. 먹이나 풀, 물감 등이 피해를 입으면 한지도 함께 손상을 입는다.특히 미술작품은 ...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주위에 두른 무덤’이라는 포괄적 의미에서 ‘회곽묘’라고 통일해 쓰고 있다).세조실록을 살펴보면 왕실이 사대부 집안에서 석실묘를 쓰지 못하도록 했고, 대신 장례를 치를 때 직급에 따라 석회를 지급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회곽묘 권장 정책을 펴던 조선왕조는 결국 왕족의 무덤도 회곽묘로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앞바다에서는 규모 5.2의 지진이 일어난 적이 있다. 조선시대의 기록을 담은 조선왕조실록에도 집이 흔들리고 성벽이 무너진 기록들이 많이 나타난다.또한 일본의 북서쪽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면, 우리나라 해안에도 지진해일이 몰아닥칠 수 있다. 1983년에는 일본 북서쪽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 ... ...
- Part 2. 기막힌 운이 승리를 가져다준 쌍륙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상류층에서 즐기다가 조선시대 후기에는 민간에까지 널리퍼졌다. 그 기록을 조선왕조실록과 고려사, 목민심서 등 다양한 문헌에서 볼 수 있을 정도로 널리 사랑받았다.쌍륙을 현대에 맞게 고친 용호쌍륙 용호쌍륙은 주사위 2개로 즐길 수 있는 쌍륙을 오늘날에 맞게 단순한 형태로 바꾼 것이다. 한 ...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이 책을 저술하기 위해 조선 태조에서 철종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사실을 적은 ‘조선왕조실록’과, 상고부터 대한제국 말기까지의 문물과 제도를 정리한 ‘증보문헌비고’를 통달할 만큼 한국 과학 문화재를 제대로 연구했다. 눈부신 과학 기술을 보유했던 나라 조선에 대한 진귀한 이 기록은 국내 ... ...
- 백두산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0년 08호
- 특히 1403년, 1668년 6월 2일과 1702년 6월 3일의 백두산 화산분화로 추정되는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서 볼 수 있다. 함경도 부령, 경성 지역에 ‘연기와 안개 같은 기운이 서북쪽으로부터 갑자기 밀려오면서 천지가 캄캄해지고 비릿한 노린내가 사람들의 옷에 스며들었고, 몹시 무더운 기운은 큰 화로 ...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암탉, 우유로 만든 보신음식 타락죽을 먹은 정종이 비소에 중독된 일 등 조선왕조실록에 나온 이야기들을 과학으로 풀었다.우리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이권우 외 22인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72쪽 | 1만 5000원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가 발행하는 웹진 ‘크로스로드’에 실렸던 에세이를 모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