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포
실화
실록물
다큐멘터리
d라이브러리
"
실록
"(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봄의 불청객 황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10세기 후반이 그 이전보다 황사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왕조
실록
에도 황사 현상에 대한 기록이 자주 나온다. 태종 11년에는 14일 동안이나 흙비가 내렸다는 기록이 있고, 성종 9년 4월에는 흙비가 내린 것에 대해 임금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자격 없는 사람이 벼슬자리에 앉은 것에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하고 만일 이를 시행치 않을 시에는 벌을 내린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특히 조선왕조
실록
에 닥나무와 관련된 내용이 24회나 언급돼 있는데 특정 수목에 대한 내용이 이렇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도 ‘문명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종이가 갖는 중요성 때문이리라. 화살도 뚫지 못하는 한지살아 있는 ... ...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않을 때까지 매일 관찰한 기록이 있다. 또 ‘동국문헌비고’ 1594년 2월 20일과 ‘조선왕조
실록
’ 1594년 11월 2일에 다시 이 별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별이 갑자기 나타났다 사라지는 신성이 아니라 밝기가 변하며 존재하는 별로 인식한 것이다.서양에서는 티코 브라헤의 제자이며 독일의 ... ...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산림을 화전으로 개간해 경작지로 만든 농민들의 관행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 왕조
실록
이나 승정원일기에는 벌채된 산림이 화전으로 변하고, 종국에는 경작지로 변한 과정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선 후기에 급격하게 늘어난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서 더 많은 경작지가 필요했을 ... ...
3. 사해문서의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그런 엄청난 보물이 단 한군데의 동굴에만 있을 리 없다고 생각했다. 조선시대에도 이조
실록
을 4부로 만들어 분산해 보관했듯이 귀중한 것일수록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여러 곳에 흩어 놓았으리라는 추측이었다. 브오 신부의 지적은 옳았다. 그는 동굴을 열개나 더 찾아냈고, 그 안에서 수백개의 ... ...
인터넷 스포츠 월드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알려면 굳이 멀리 프랑스까지 갈 필요가 없다. MBC가 제공하는 이곳은 한국축구의 '월드컵
실록
'이라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로 한국이 참가한 역대 월드컵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수록돼 있다.처음 접속하면 한국이 월드컵에 참가해 치른 경기 전적이 나온다. 아쉽게도 11번의 경기 중 이긴 적은 한번도 ... ...
병주고 약주는 옻나무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세금도 부과했다. 조선시대에도 옻나무에 대한 나라의 적극적 관여는 계속됐다. 조선왕조
실록
에는 세조 12년에 각 마을마다 옻나무를 자르고 심는 수를 조사 보고하도록 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러한 기록처럼 옻나무는 우리 조상들이 알뜰하게 가꾸고 현명하게 이용했던 산림자원이었다.옻나무는 ... ...
단군은 박달나무의 아들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변치 않는 한지를 생산하지 못했을 것이며, 세계에 자랑하는 기록문화유산인 조선왕조
실록
의 편찬이나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술 역시 불가능했을지 모른다.우리 한민족이 나무나 숲을 어떻게 정서적으로 인식해 왔는지 알기란 쉽지 않다. 나무나 숲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남긴 문헌이나 ... ...
딸자랑에 교만했던 카시오페이아 왕비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달에 가려지는 현상으로 옛날부터 주목되던 천체현상이었다. ‘고려사’나 ‘조선왕조
실록
’에는 달이 행성을 가리는 행성식이 많이 기록돼 있다. 옛날에는 토성이 왕비나 공주를 상징하는 것으로 생각됐기 때문에 토성식은 여자들에게 매우 중요했다. 천문서에는 달이 토성을 가리면 나라에서 ... ...
조용하게 때론 거칠게 바다를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라는 말이 생길 정도다.우리나라의 적조발생 역사는 조선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조
실록
'에는 태종과 세종 때 남해안 일대에서 적조가 발생, 물고기가 떼죽음 당한 사실이 기록돼 있다. 이렇듯 오래전에도 적조가 있기는 했지만 최근 적조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그 규모가 점점 커진다는 점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