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록"(으)로 총 1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산은 살아있다과학동아 l1991년 07호
- 1007년 제주도에 검은 연기가 치솟ㅇ아 항해를 할 수 없었다'는 기록이 발견되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는 1597년 1668년 등에 백두산일대지역이 화산 재로 되덮였다고 쓰고 있다.환태평양지역 '불의 고리'의 일부인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지역도 화산발생이 빈번한 곳. 이 중 1883년에 분출한 ...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과학동아 l1990년 09호
- 乙亥字)는 구리 79.45%, 아연 2.30%, 주석 13.20%, 납 1.66%, 철 1.88%다. 이에 비해 1677년의 현종실록자(顯宗實錄字)는 구리 64.7%, 아연 3.1%, 주석 18.4%, 납 4.4%, 철 2.1 %로 배합비율이 달라진다. 또 한구자(韓構字)에 와서는 구리 79.8%, 아연 1.4%, 주석 10.6%, 납 2.1% ...
- 자격루 복원된다과학동아 l1990년 09호
- 복원됐으나 현재는 덕수궁에 시계장치 부분만이 남아 있다.남문현교수는 5년 전부터 세종실록을 근간으로 자격루의 구조와 원리를 연구해 자동시보장치의 모델을 완벽하게 밝혀내고 여러 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복원작업에 착수하게 된 것.1만원 지폐에 선명하게 박혀 있는 자격루가 실물 크기로 ...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과학동아 l1990년 08호
- 겨를이 없을 터이지만 활자를 안 만들 수는 없으니 잘 계획해서 실행하도록 하라."세종실록이 전하는 세종의 어명이다. 그 당시는 계속된 가뭄으로 정부가 진행하고 있던 모든 건축공사가 중지되고 부역하던 백성들도 집으로 돌려보내는 어려운 형편이었다고도 '실록'은 기록하고 있다.그러나 ...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영토라는 데 이의가 전혀 없다. 독도는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성종실록' '숙종실록' 등에 우산도 또는 삼봉도라 불리면서 울릉도와 함께 강원도 울진현에 소속돼 있다. 특히 1696년(숙종22년) 동래사람 안용복 일행은 독도 근해에서 고기잡이를 하다가 일본 어선과 충돌이 있은 후, 울릉도 ... ...
- 청동기와 거푸집과학동아 l1990년 01호
- 거울이 발견되기도 했다.특히 봉산군은 아연 광석인 노감석(爐甘石)의 산지로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곳이다. 어쩌면 그 지역에 살던 청동기 시대 기술자가 구리나 청동에 노감석을 섞으면 동합금의 질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을지도 모른다.아연은 9백7℃에서 끓어 증기로 달아난다. ... ...
- 농업기상학과학동아 l1989년 11호
- 자주빛 구름 등으로 나타냈다.1519년(중종 14) 6월에 경주에서 관측된 극광을 묘사한 '중종실록'의 기사는 아주 재미있다. 그글의 일부를 옮겨 보자."이날 밤 경상도 경주부에는 천변(天変)이 일어났다. 이른 밤에는 달빛이 매우 밝았는데, 서쪽에 조금 구름기가 보였다고 생각될 때 구름 사이로 빛이 ...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인류 역사시대(1400년전, 1000년전, 300~400년전)의 3번에 걸친 분출에 의한 결과이다.이조실록(李朝実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돼 있다."선조 30년인 1597년 8월26일, 온세상을 뒤흔드는 폭음이 났고 연기가 하늘을 가렸다. 많은 돌멩이가 하늘을 돌아다니면서 연기와 함께 산넘어로 넘어갔다. 그와 동시에 ... ...
- 측우기과학동아 l1989년 10호
- 측우대 중의 하나이다.이때 부활된 측우기의 제도는 다시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정조실록'에는 정조 16년(1792년) 이후 8년간의 강우량 통계가 기록되어 있다. 정조23년(1799년) 5월의 기사에는 전년의 같은 달인 5월 한달 동안의 강우량과 그해 5월의 강우량을 비교해 놓았다. 이는 월별 통계도 정확히 ... ...
- 천문시계과학동아 l1989년 09호
- 타종장치 등을 개량한 것이다.●―동서양의 전통을 묶어송이영의 혼천시계는 '현종실록'에 기록된 대로 '서양식 자명종의 원리'를 이용한 금속제 기계시계 장치로 만든 것이다. 그래서 송시영의 혼천시계는 동서양과 한국의 천문시계의 전통을 하나로 융합시킨 '도가니'가 되었다. 세계에 하나 밖에 ... ...
이전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