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d라이브러리
"
교배
"(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05
거슬러 올라간다. 베이크웰은 양과 소에게서 특수한 형질을 발전시키기 위해 근친
교배
를 이용했다. 그 뒤 더 생산성이 높고 맛 좋은 고기·우유·계란을 얻기 위한 과학적인 육종이 발전했다.그 결과 닭은 일 년에 60여 개 낳던 계란을 300~360개나 낳는다. 젖소는 야생에서 하루 2~3kg 생산하던 우유를 30~ ... ...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05
들어 음식물 찌꺼기를 먹어 치우면서 가축이 됐다”고 했다.정말 온순한 야생동물끼리
교배
시키면 가축이 되는 걸까. 1972년 러시아의 유전학자 드미트리 벨라예프는 이를 증명해 보기로 했다. 그는 야생 쥐를 잡아다 무작위로 두개의 실험실에 분리시켰다. 한 그룹에서는 계속 온순한 쥐만 골랐고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04
불렸다. 즉 더듬이(antenna) 자리에 발(pedia)이 달려 있다는 의미다. 그는 여러 차례
교배
실험과 염색체 관찰을 통해 염색체 상에서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는 위치를 규명했다. [호메오돌연변이체는 정상적인 기관이 몸의 엉뚱한 곳에서 나타난다. 대표적인 예인 안테나페디아(오른쪽)는 더듬이 자리에 ... ...
새처럼 노래하는 쥐, 있다?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2
DNA를 잘못 복제하도록 해서 돌연변이 쥐를 만들었어요. 그런 다음 돌연변이 쥐끼리
교배
시켜 어떤 특성을 가진 자식 쥐가 태어나는지 관찰했지요. 새 소리를 내는 쥐는 돌연변이 가운데 우연히 발견된 것으로, 새 소리를 내는 쥐는 어미 쥐와 같은 특성을 가진 아기 쥐를 낳았어요. 새소리를 내는 ... ...
우리나라 토종 잣나무가 세계 잣나무를 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9
품종을 만들 수 있거든요. 실제로 우관수 박사팀은 토종 잣나무와 다른 잣나무와의
교배
를 통해 맛있는 잣은 많이 열리고 잣나무털녹병에는 강한 새로운 품종을 만들 계획이랍니다. 또, 토종 잣나무의 유전자를 잣나무털녹병 치료에 활용하는 방법도 개발하고 있지요. 우리나라 토종 잣나무의 활약,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11
보셨을 겁니다. 바로 ‘플럼코트(플루옷)’인데요. 서로 다른 두 과일, 즉 자두와 살구를
교배
했죠. 자두의 붉은 껍질과 살구의 과육을 가졌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자두와 살구의 맛과 향이 동시에 난다는 거예요. 항산화작용과 항암작용을 하는 플라보노이드도 자두와 복숭아, 살구보다 플럼코트에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10
동일한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나아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다른 구성원과
교배
할 가능성도 높다. 개체군은 개체 간에 유전되는 변이에 작용하는 자연석택을 통해 변화한다. 자연선택은 개체군 내의 다양한 특성의 출현 빈도를 변화시킨다. 생존 곡선과 상대 수명 생리적 수명이란 최적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10
재발견1866년 오스트리아의 성직자이며 아마추어 과학자였던 그레고르 멘델은 완두
교배
실험을 통해 찾아낸 유전 법칙을 학회지에 투고했지만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의 논문은 찰스 다윈의 서재에서도 발견됐으나 다윈이 읽은 흔적은 없다. 그렇게 잊히는가 싶었지만 1900년 몇몇 과학자들이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08
진화론의 관점에서 동성애는 진작 사라져야했을
교배
방식이라고 말한다. 동성애는 번식 능력이 없어 종족보존에 이롭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을 비롯한 곤충과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거의 모든 종에서 동성애가 발견된다.새만 해도 130여 종이 동성애를 즐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성애는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08
195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연구자들은 엄청나게 뚱뚱한 돌연변이 쥐를 얻었는데
교배
실험을 한 결과 이 형질이 열성으로 유전됨을 확인했기 때문이다.즉 어떤 유전자에 문제가 생길 경우 부모로부터 다 돌연변이 유전자를 받은 새끼는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토끼로 착각할 만큼 살이 찌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