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d라이브러리
"
교배
"(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아지와의 친밀감은 옥시토신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
취약한 특징이 대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죠. 가장 대표적인 예가 골든 리트리버예요. 순종
교배
만 하다 암이 잘 걸리는 친구들만 남았죠.사람들이 우릴 사랑하는 만큼 앞으로는 우리의 유전자 다양성에도 신경을 좀 써 줬으면 좋겠어요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10
생기고 있다. 2010년, 네안데르탈인 게놈 해독 결과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서로
교배
해 자손을 남겼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12년에는 초기 호모 속 인류인 호모 하빌리스와 동시대에 호모 루돌펜시스라는 또다른 종이 존재했다는 사실도 알려졌다. 최근에는 이들 외에 또다른 초기 호모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08
받지 않을 때도 아몬드향에 공포를 느꼈다. 10일 뒤 공포를 학습한 쥐와 정상 암컷을
교배
시켰다. 이 새끼들은 다른 냄새보다 아몬드향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아몬드향이 있을 때는 작은 자극에도 놀랐다. 이런 결과는 처음으로 공포를 학습한 쥐의 손자까지 지속됐다. 연구팀은 손자 쥐의 정자를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7
풀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 가능한 해를 임의로 정한 뒤, 생물 진화의 돌연변이나
교배
등에서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동영상 참조). [특정 능력이 특출난 약한 인공지능인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식물에 24시간 정도 쬐어줘요. 그리고 이 중에서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는 개체를 선발해
교배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며 새로운 품종을 만들지요.단백질이 풍부한 쌀, 빠른 시간에 많이 열리는 검은콩, 독특한 무늬를 가진 난 등 이 모두 방사선육종연구센터에서 개발된 품종이에요. 현재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애완용 집비둘기나 편지를 나르는 ‘전서구’로 길들였어. 유럽 사람들은 비둘기를
교배
해서 아름다운 깃털을 자랑하기도 했지. 하지만 집비둘기가 반려동물로서 인기를 잃은 뒤에는 버려져서 다시 야생으로 돌아왔어. 그런데 도시가 커지고 늘어나면서 자연의 서식처를 잃은 집비둘기들이 다시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11
무렵인 1908년부터다. 재래돼지는 일제강점기동안 마구 들여온 외래종과 무분별한
교배
가 이뤄지면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여기에 6·25 전쟁과 산업화를 거치면서 재래돼지는 멸종에 이른다. 그나마 1988년 충북 청양과 제주도에서 재래돼지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던 9마리를 어렵게 모아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사계절 내내 꽃을 피우기도 하지요. 향기가 뛰어난 유럽 야생장미와 중국 야생장미를
교배
해 다양한 장미를 만들었어요. 현재 7000여 종의 품종이 있으며, 해마다 200종 이상의 품종이 새롭게 만들어진답니다. 18세기 이후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져 18세기 이전의 장미를 고대장미, 이후를 현대장미라고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10
자포니카와 인디카를
교배
시킨 뒤 불임이 아닌 종자를 다시 인디카와
교배
시키는 3원
교배
로 ‘통일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통일벼는 기존의 자포니카 품종보다 30%나 생산성이 높았다.통일벼는 1970년부터 농가에 보급됐다. 박정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1976년에 드디어 쌀 자급에 성공했다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07
바이러스를 퍼뜨릴지 모르잖아요? 유전자를 조작한 쥐라면 외부로 탈출했다가 야생쥐와
교배
해 생태계에 해로운 유전자를 퍼뜨릴 수도 있으니까요. 2001년에 경기도 안양에서는 시내에서 갑자기 실험용 흰 쥐가 목격돼 사람들을 공포에 빠뜨리기도 했어요. 인터넷에 실험용 쥐를 얻어 와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