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짝짓기
타가 수정
교잡 수정
교미
양성 혼합
교합
교접
d라이브러리
"
교배
"(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
과학동아
l
201305
이해가 쉽다. 개는 유전자 몇 개만 조작해도 덩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인간의 의도적인
교배
로 개의 유전적 다양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인간의 경우 키를 결정하는 후보로 알려진 180개의 유전자로도 유전 영향의 10%밖에 설명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70%의 영향력이 유전자의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02
때문에 발생한 것일 수도 있고 가축과 가금류의 치명적 전염병은 집단밀식과 단일품종
교배
때문에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분명한 것은 지구생태계가 오랜 세월을 거쳐 서서히 변해서 현재의 모습을 이룬 것처럼, 앞으로도 지구 환경뿐만 아니라 생태계도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할 것은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분류하는데, 생물학적으로는 같은 종끼리 자유롭게
교배
가 가능하고, 후손 역시 서로
교배
가 가능해야 한다.우리부터 도와 줘! 포유류와 조류 먼저!지구를 지배하는 생물은 뭐니뭐니해도 포유류와 조류 아닐까? 게다가 포유류에는 사람도 속해 있고, 조류는 하늘을 나는 멋진 꿈을 꾸게 해 주잖아.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11
것이다. 김민규 교수는 “국내 따오기는 중국에서 들여온 암수 한쌍에 의해 근친
교배
를 하고 있어 유전적 다양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알 상태에서 성을 감별할 수 있으면 미리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이브 시아마 환경 전문 과학저널리스트가 지난 해 펴낸 ‘멸종위기의 생물들’에서 지적한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
과학동아
l
201210
있다면 육종은 이 둘을
교배
시켜서 자손 토마토 중병에 강하고 맛이 좋은 토마토를 계속
교배
시켜서 개량합니다. 원하는 형질의 토마토가 나온다는 보장도 없고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요즘은 생명공학을 이용합니다.토마토를 병에 강하게 만드는 유전자를 찾아내서 그 유전자를 병에 약하고 ... ...
GMO, 무조건 나쁜 것이다?
과학동아
l
201210
GMO다. GMO는 뜻 그대로 유전자를 변형한 생물체를 뜻하는 말이다. 과거에는 식물과 식물의
교배
로 두 개체간의 우수한 형질을 물려받은 자손을 얻어냄으로써 더 우수한 품종을 개발했지만 현재는 한 개체에 다른 개체의 우수한 유전자를 집어넣음으로써 식물과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과 식물 간의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9
반가운 손님이 오면 붉은 혓바닥을 내밀고 강아지풀 같은 꼬리를 흔드는 우리나라 대표 멍멍이 진돗개가 과학적으로도 우리나라에만 사 ... 인종끼리 0.1% 정도 다른 것에 비하면 큰 차이랍니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개를 인위적으로
교배
하며 품종개량을 많이 해왔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05
유전자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4년 일본 산토리사가 마침내 푸른 장미를 개발했다.
교배
육종이 아닌 유전자조작 기술을 통해서다.푸른 장미의 푸른색 색소를 만드는 유전자는 팬지꽃에서 유래했다. 그렇다면 팬지꽃의 유전자를 어떻게 장미의 유전자 틈에 집어넣었을까.유전자조작을 하는데 ... ...
진화에서 인공지능까지, 똑똑한 유전 알고리즘
수학동아
l
201205
새들이 살아남아 자식 새를 낳는다. 부리가 그대로 자식 새에게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교배
로 두 마리 새의 특징이 섞이기도 한다. 또 전혀 새로운 (돌연)변이가 나타나 유전되기도 한다.자연선택설은 이처럼 자연계에서는 환경에 적합한 생물체는 계속 살아남고, 적합하지 않은 것은 사라진다는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
과학동아
l
201204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의 마이클 프롬 박사는 “이 연구를 가뭄에 잘 견디는 작물의
교배
나 유전자 조작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3월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