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 지도'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생을 마감한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호의 자료를 바탕으로 타이탄의 지도를 재구성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천문학’ 11월 18일자에 공개했다.카시니호는 토성의 대기를 통과할 수 있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이용해 타이탄의 표면을 관측했다. 레이더로 관측하지 못한 지역은 카시니호의 가시광선 및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연구팀은 과일과 채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말린 뒤 부피와 구조를 비교해 2016년 국제
학술
지 ‘국제분자과학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건조 순으로 부피 변화가 적었다. doi: 10.3390/ijms18010071최근에는 과일 등을 동결건조해 과자처럼 먹을 수 있는 칩도 개발됐다.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센 교수는 이런 신호 차단 장치를 만들어 올해 3월 11일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8-38303-x 드론┃특정 주파수로 정보 교란 통신 기술만 해킹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김 교수는 “해킹이 통신을 이용해 공격하는 것만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가까이 붙어있는 세포는 서로 신호전달물질을 교환해 의사소통을 합니다. 그렇다면 물질을 교환할 수 없을 정도로 멀리 있을 때 세포는 ... 세포의 의사소통 방법을 규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0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 ...
[수학뉴스] 비행기 연착, 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승무원 일정 짜기 문제’는 많은 항공사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어려운 수학 문제입니다. 복잡한 비행기 노선에 승무원을 효율적으로 ... 연착과 승무원들의 피로가 감소하는 등 확실한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교통 과학’ 9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가 2015년 ‘올해의 혁신적인 기술(Breakthrough of the Year)’ 10개 중 최고 성과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꼽았다. 지난해에는 급기야 중국에서 원하는 대로 유전자를 수정한 맞춤형 아기인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테라헤르츠파는 주파수가 0.3THz(테라헤르츠·1THz는 1조 Hz)에서 3THz에 이르는 전자기파다. X선 에너지의 100만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조를 볼 ... 생성해 더 많은 물질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1월 15일자에 게재됐다. doi: 10.1126/science.aay868 ...
[과학뉴스]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공룡이 극지에 적응하기 위해 깃털을 사용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곤드와나 리서치’ 11월 1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16/j.gr.2019.10.00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늘어날 것이다. 마츠모토 마사카즈 일본 오카야마대 복합학연구소 교수팀은 2017년 국제
학술
지 ‘화학물리학저널’에 얼음이 300개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63/1.4994757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얼음의 결정 구조를 모두 만들어냈고, ... ...
[과학뉴스] 머리 많이 쓰면 단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유전학과 교수팀은 뇌세포의 전기적 활동 정도가 노화와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신경계 활동과 질병의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는 많았지만, 수명과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은 드물었다.연구팀은 55~100세에 신경 장애나 인지 손상을 겪고 사망한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