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잘 알려지지 않았던 측두엽과 소뇌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7-02304-z우리는 17~48세 남녀 92명을 대상으로 지능지수(IQ) 검사와 함께 fMRI와 DTI 촬영 자료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두엽-두정엽 사이는 물론 두정엽-소뇌 ... ...
[수학뉴스] 50년 전과 지금, 음악 시장은 수학적으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분야의 변화도 같은 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을 거라 예상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영국 왕립 오픈 사이언스 학회지’ 8월 21일자에 게재됐습니다.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동해가 오염됐던 사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그는 지난해 8월 일본 연구팀이 국제
학술
지 ‘오션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을 인용했습니다. 2011년 사고 이후 원전에서 흘러나온 세슘137 오염수가 북태평양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 실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논문이었습니다. 그동안 ... ...
[과학뉴스] 비만 치료 위해 뇌 시상하부 정조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뇌 시상하부 속에서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 표적을 찾아내 국제
학술
지 ‘오토파지’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찾아낸 표적은 뇌실과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다. 연구팀은 고지방 먹이를 다량 섭취한 비만 쥐의 띠뇌실막세포를 관찰한 결과,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수 있다.한 책임연구원은 2018년 10월 세계에서 가장 큰 VLBI
학술
대회인 ‘유럽전파천문학
학술
대회’에서 이를 처음 공개했다. 이후 지금까지 핀란드, 이탈리아, 미국, 독일 등 여러 나라에서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이 가운데는 KVN의 동시 다주파수 관측 시스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체적인 협의가 진행 ... ...
지능×성적 전교 1등은 지능이 높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사이에 상관관계를 연구했고, 2006년 그 결과를 반영한 ‘최적 시간 할당 모델’을 국제
학술
지 ‘인지과학’에 발표했다. doi: 10.1207/s15516709 cog0000_74최적 시간 할당 모델에 따르면 기존에 학습량이 많거나 관심이 높은 대상에 노력을 더 많이 쏟을 때는 메타인지 능력도 비교적 높게 형성되는 반면,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Accelerator)를 이용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직접 측정하는 원리와 실험 방법을 정리해 국제
학술
지 ‘피직스 투데이’에 발표합니다. 이번에 소개할 논문이 바로 이겁니다. doi: 10.1063/1.2995406이 방식에서 AMS는 이온화된 시료를 가속기로 가속한 뒤 질량 차이에 따라 방사성동위원소를 곧바로 분리합니다. ... ...
[수학뉴스]키리가미로 어떤 모양이든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건축 구조물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 19일자에 게재됐습니다. ... ...
[과학뉴스] 태양 질량의 2.17배 역대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실험실에서는 구현할 수 없는 발견”이라고 연구 의미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천문학’ 9월 16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50-019-0880-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크리스퍼(CRISPR)를 이용해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들었다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단일 가닥 DNA와 크리스퍼를 이용해 하이드로겔 형태의 신소재를 제작했다. 먼저 단일 가닥 DNA를 이용해 그물 형태의 하이드로겔을 제작하고 그 안에 항암제 ... ...
이전
79
80
81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