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치료할 수 있는 최신 유전자 가위 기술인 ‘프라임 에디팅(Prime editing)’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9년 10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브로드연구소는 미국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가 공동 설립한 생명과학연구소다. 그간 가장 앞선 유전자 가위로 꼽혀온 ‘크리스퍼(CRISPR)-캐스9’는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않으면기후 위기는 인류에 엄청난 고통을 가져올 것입니다.” 2019년 11월 5일, 국제 과학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에 전세계 153개국의 과학자와 수학자 1만 1000명이 낸 공동성명이 올라왔어. 기후 위기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돼 생태계와 인류의 운명이 위협받고 있으므로 빨리 ... ...
- [핫이슈] 마이펫의 이중생활2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있을까요? 지난 6월 6일, 스웨덴 린셰핑대학교의 동물학자 리나 로스가 관련 연구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어요. 반려견이 반려인의 감정을 너무 신경 쓴 나머지, 반려인의 스트레스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거예요.연구팀은 스웨덴에 사는 반려인 58명과 반려견 58마리를 대상으로 머리카락과 털에 있는 ... ...
- [과학뉴스] 바닷속에서도 착! 하이드로겔 접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용해 바닷물 속에서도 고체에 달라붙을 수 있는 하이드로겔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12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고분자 사슬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사슬이 바닷물과 이온 농도가 같은 0.7M(몰) 소금물에서 ... ...
- [과학뉴스] WOW! 보고, 듣고, 만지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시각과 촉각, 음향을 동시에 구현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이 디스플레이는 기존에 주로 사용된 홀로그래픽 프로젝터가 아닌 초음파를 사용한 게 특징이다. 우선 초소형 스피커에서 소리를 증폭해 초음파를 생성한 뒤 이를 3차원(3D) ... ...
- [과학뉴스] 블랙홀이 내던진 별, 10배 빨리 이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블랙홀에 의해 은하를 빠르게 벗어나는 별을 관측해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보’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 별은 S5-HVS1으로 불리며,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 A*(Sgr A*)에 의해 시속 약 600만km로 우리은하 중심에서 멀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북아프리카 대륙판에서 맨틀이 나일강의 물줄기를 지탱하고 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질학’ 1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밝혀진 지질학, 지형학 데이터를 이용해 4000만 년 동안 판 구조의 변화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나일강 북아프리카 지각 아래를 흐르는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남극에서 빙하코어 시추를 시작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뉴스 중 하나로 이 프로젝트를 꼽기도 했다.시추는 2025년 5월까지 6년간 계속될 예정이다. 허 책임연구원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높아지면서 예상치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죽은 지 약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디서나 살고 있어 생태학자들에게 지렁이는 매우 중요한 지표 동물이다.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전 세계 ‘지렁이 지도’가 최초로 공개됐다. 연구자 140명이 전 세계 지렁이 연구자들로부터 57개국 6928곳에 이르는 땅밑 지렁이의 분포와 개체수, 그리고 종별 데이터를 수집해 정리한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