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직물형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하고 연구 결과를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2월 28
일자
에 발표했다.저항변화메모리는 재료가 절연체에서 전도체로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0과 1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저장하는 장치다. 기존 소자는 도체 사이에 절연체를 샌드위치처럼 넣어서 3층 구조로 ... ...
[과학뉴스] 스마트폰 지문 인식, 쉽게 뚫린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지문을 이용한 생체 인증으로 스마트폰의 보안을 지키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탠돈공대 컴퓨터 과학과 나시르 메몬 교 ...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정보 포렌식 처리와 보안’ 4월 6
일자
에 발표됐다. doi:10.1109/tifs.2017.269165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유지해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 그룹을 찾아 학술지 ‘분자세포’ 3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물곰이 완전히 말라버렸을 때 높게 발현된 유전자를 발견했고, 이 유전자로 합성되는 단백질에 ‘불규칙한 단백질그룹(TDPs)’이라 이름 붙였다. 이 단백질은 3차원의 일반적인 구조를 ... ...
[과학뉴스] 교통사고 생존자, 응급실에서 테트리스를?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테트리스 게임을 이용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옥스포드대 정신의학과 키아 노브레 교수와 스웨덴 카롤린스카 ...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분자정신의학’ 온라인판 3월 28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mp.2017.2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실험동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와 가장 비슷한 환경에서 실험하기 위해 만든 인공장기를 ‘오가노이드’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자궁내막 ...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바이올로지’ 4월 10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ncb351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보니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패턴이 생겼다는 연구 결과를 ‘플로스원’ 2013년 8월 15
일자
에 발표했습니다(doi:10.1371/journal.pone.0070876).●독일 함부르크대 클레인 플롯벡 생물학센터 노르베르트 위에르겐스 교수는 사막 흰개미가 식물을 먹고 땅을 파면서 요정의 원을 점차 넓혀간다고 설명했다 ... ...
[과학뉴스] 만성 B형 간염, 잘 안 낫는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전세계 약 4억 명이 감염된 B형 간염바이러스(HBV)는 치료를 해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만성간염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김균환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 B형 간염 치료제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거트’ 3월 24
일자
에 실렸다. doi:10.1136/gutjnl-2016-31274 ... ...
[과학뉴스] 소아과학저널 (The Journal of Pediatrics)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아이들은 가장 많은 항생제 처방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소아과학저널’ 2016년 12월 21
일자
에 나왔다. 한국 영유아들은 만 2살이 될 때까지 1명당 연평균 3.41건의 항생제 처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대상 6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0.45건보다 7.6배나 많은 양이다.소아과학저널은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하드웨어를 만들고 필기체 글씨를 구분하게 만드는 데 성공해 ‘에이씨에스 나노’ 3월 28
일자
에 공개했다.현재 전자기기에 쓰이는 회로는 0과 1 두 가지 신호로 작동하는 디지털 방식인 데 비해 우리 뇌의 신경세포는 연속적인 값을 이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작동한다. 알파고처럼 뇌를 모방하는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감지속도를 기존보다 월등히 높인 새로운 바이오센서 플랫폼이 개발됐다.바이오센서의 성능은 센서의 분해능과, 진단하고자 하는 분자의 이동속도에 따라 달라 ...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엔피지 아시아 머티리얼스’ 온라인판 3월 31
일자
에 게재됐다. doi:10.1038/am.2017.3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