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사라져라 흰머리, 자라나라 검은머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젊을 때 새까맣던 머리카락은 나이가 들면서 하나씩 희어진다.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이 빠져 숱이 점점 적어지기도 한다.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머리 ... 영향을 받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전학 저널인 ‘유전자와 발생’ 5월 2
일자
에 실렸다. doi:10.1101/gad.298703.11 ... ...
[과학뉴스] 공룡이야, 닭이야? 깃털 가진 소형 수각류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현생 조류가 공룡에서 진화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 사이의 과정이 아직 밝혀지지 않아 의견이 분분하다. 이 과정에 힘을 보태는 생물이 수각 ...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5월 2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ncomms1497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통통하게 살이 오른 반죽 표면에 고운 밀가루를 뿌렸다. 그리고 칼로 반죽의 표면에
일자
, 또는 나뭇가지 모양을 그었다. 빵이 숨을 쉴 수 있는 자리란다. 그리고 반죽들은 235~242℃로 예열된 오븐으로 들어갔다. 오븐 안에서도 빵들이 부풀어 오르는 모습이 보였다. 열을 가하자 화학팽창제만 넣은 ... ...
[과학뉴스] 소아과학저널 (The Journal of Pediatrics)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아이들은 가장 많은 항생제 처방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소아과학저널’ 2016년 12월 21
일자
에 나왔다. 한국 영유아들은 만 2살이 될 때까지 1명당 연평균 3.41건의 항생제 처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대상 6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노르웨이의 0.45건보다 7.6배나 많은 양이다.소아과학저널은 ... ...
[과학뉴스] 온도에 따라 움직이는 꽃 로봇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뜨개로 뜬 옷감이 온도에 따라 모양을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추울 때는 길었다가 더울 때는 짧게 접히는 소매라든가, 모터를 ... 공개했다(www.youtube.com/watch?v=uj15Umtc1oM). 이 연구 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4월 4
일자
에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doi:10.1002/adma.2017 ...
[과학뉴스]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케미스트리 오브 머터리얼스’ 3월 14
일자
에 발표했다.혈류 속도와 다양한 물질의 방해 때문에 치료를 위해 주입한 줄기세포가 표적기관까지 가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많다. 홍진기 중앙대 화학신소재 공학부 교수팀은 천연고분자인 L-라이신과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실험동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와 가장 비슷한 환경에서 실험하기 위해 만든 인공장기를 ‘오가노이드’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자궁내막 ...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바이올로지’ 4월 10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ncb351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그 허점을 간파해 이를 위조하는데도 성공했다고 네이처 자매지 ‘양자 정보’에 3월 1
일자
에 발표했다(doi:10.1038/s41534- 017-0010-x). 연구팀은 이상적인 조건에서 위조가 불가능하지만 현실세계의 단일 광자가 다른 광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분실’될 수 있어 은행은 불완전한 양자지폐를 받게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유전자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 이를 증명했다(‘사이언스’ 2012년 2월 17
일자
). 현재는 남세균이 엽록체로 진화하는 과정의 중간 형태를 연구하는 그는 “수십억 년 전 남세균이 광합성을 통해 지구 생태계를 어떻게 바꿨는지 이해하면, 미래의 진화과정도 예측할 수 있다”며 “나아가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쥐들에 비해 연령 가속화 속도가 훨씬 빠르다는 연구 결과를 ‘게놈 바이올로지’ 4월 11
일자
에 발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