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자"(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자꾸 미끄러지네요. 학술지 ‘생식및불임’ 2013년 2월 6일자에 게재된 논문(doi:10.1016/j.fertnstert.2012.12.049)에 따르면, DNA 분절과 불임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배아가 발달하려면 DNA에서 RNA로 전사가 일어나 여러 필수 단백질이 만들어져야 하는데, 흥부자 정자가 음주가무를 ... ...
- [과학뉴스] 치매 유전자 돼지로 신약 개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발하기 위해 복제돼지 ‘제누피그’를 탄생시키고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6월 6일자에 발표했다. 이 돼지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인 APP와 Tau, PSI를 갖고 있다.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뇌에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쌓이거나, 뇌세포 안에 타우(Tau) 단백질이 쌓이면서 뇌세포를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1000km 안팎의 거대 소용돌이를 발견하고, 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2011년 발사한 탐사선 주노는 작년 7월 4일 목성에 도착한 뒤 목성의 표면과 자기장, 중력, 오로라, 플라스마 환경 등을 관측하고 있다. 미국 사우스웨스트연구소(SWRI) 스콧 볼턴 연구원팀은 주노가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의학유전학(Genetics in Medicine)’ 2016년 3월 3일자에 발표했다. 이 알고리즘은 다운 증후군 환자는 129건 중 94%를, 디죠지 증후군 환자의 경우 156건 중 95%를 정확하게 진단했다(doi:10.1038/gim.2016.3).사진 속 색과 형태가 알려주는 질병2013년 네덜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큰데 법적으로는 품질유지기한을 표시할 의무가 없습니다.먹어서 괜찮으면 OK?제조일자, 품질유지기한, 유통기한…, 이것저것 따지기 귀찮고 본인의 오감을 믿겠다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좀 어렵게 말하면 ‘관능적 유통기한’을 중시하는 겁니다. 하지만 위험한 발상입니다. 맛이 안 변해도 미생물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이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을 이용해 지구와 질량이 비슷한 외계행성을 발견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운영하는 스피처 우 ... 형성될 수 있음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레터스’ 4월 26일자에 실렸다. doi:10.3847/2041-8213/aa6d0 ... ...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독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학술지 ‘산업생명공학’ 2015년 2월 17일자에 실린 리뷰 논문에 따르면, 나노셀룰로오스는 다행히 먹거나 피부에 닿는 것은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문제는 호흡을 통해 폐에 들어가는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연구의 수가 적고, 그마저도 결과가 일치하지 ... ...
- [수학뉴스] 최고의 투수가 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야구는 투수놀음’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투수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투수는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속도로 공을 던지기 위해 피나는 연습을 하지요. ... 던지는 연습을 할 때 연구 결과를 참고하면 좋겠죠?이번 연구는 ‘영국왕립오픈사이언스’ 4월 26일자에 실렸습니다 ... ...
- [과학뉴스] 장내미생물 나이는 4억 살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대표적인 장내미생물 중 하 나 인 장내구균(Enterococcus )의 나이가 무려 4억 살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마이클 길모어 교수팀은 ... 강력한 항생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셀’ 5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ell.2017.04.02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흔히 인간의 후각 능력은 동물에 비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뇌 전체에서 후각신경구가 차지하는 상대적 크기(비율)가 다른 포유동물에 비해 작기 때문이다. ...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감각”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5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m726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