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계획 중으로 기존 전파 망원경보다 더 먼 곳의 전파 신호까지 감지할 수 있어 외계의 신호를 잡아낼 가능성이 더 높다.새로운 개념의 망원경 ‘LSST’2020년에 남반구에 있는 칠레 중부 파촌 천체관측단지에 LSST(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의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LSST의 가장 큰 장점은 3일에 한 번씩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사고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현재의 컴퓨터는 주어진 논리대로 전류 신호를 연산한 뒤 결과를 참 아니면 거짓으로 출력한다. 연산 결과가 0이거나 1일 때만 답을 내릴 수 있다. 0.5나 0.7은 답을 내릴 수 없는 계산 오류다. 하지만 컴퓨터가 이해하는 논리적인 상태가 늘어나면 ... ...
- [Issue] 카(Car)더라의 진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봤다고 밝혔습니다.멈출 땐 기어를 중립(N)에 놓아야 한다?에코 드라이브라고 해서 신호를 대기할 때 기어를 중립에 놓는 것이 한동안 유행이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엔 오히려 자주 변속을 하면 동력이 손실돼 연비가 나빠진다, 부품이 마모돼 수명이 줄어든다는 반박논리도 있습니다. 진실은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제시하더군요. 중국 팀이 태연한 얼굴로 프레젠테이션을 함께했습니다.“뇌 구조와 전기 신호를 복제할 거야.”“그럼 몸은?”“몸이 왜 필요해? 이 모든 것은 결국 인류가 이 거추장스럽고 암이나 피워내는 몸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 아니야?”“일단 설명이나 해봐.”“냉동이 중요해. 피를 비롯해 ... ...
- [과학뉴스] 속닥속닥~, 박테리아의 대화를 엿듣는 아메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천 배 거리까지 신호를 보낼 수 있는 화학물질을 분비하는 거예요. 박테리아는 이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주변에 있는 박테리아의 개체수를 확인해 군집을 형성하지요.그런데 이 화학물질을 이용하는 생물이 또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바로 흙 속에서 박테리아를 먹고 사는 ‘원생생물’이에요.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0시일 때에 한국은 9시간이 빠른 다음 날 오전 9시가 된다.● GPS :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로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시간의 기준을 찾아라!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Part 2.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Part 3. 세상에 이런 시계가? 별별 ...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적응할 수 있는 오염 수준의 범위가 다른 동물보다 넓답니다.이 유전자는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과 관련이있어요. 주변의 오염물질이 높으면 경고를 보내는 일을 하지요. 대기가 오염됐을 때 사람의 피부에 아토피를 일으키는 단백질로도 알려져 있어요.나도 너처럼 주변 환경에 빠르게 ... ...
- part 3. 화려한 천체 사진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또 다른 잡음 문제평탄도 문제 빛이 센서에 도달하는 동안 방해물에 의해 중심부보다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현상이 생긴다. 해가 진뒤나 뜨기 전에 균일한 상태의 하늘을 찍은 사진을 활용해 보정한다.암전류 문제 센서에 들어오는 빛을 가리고 300초 동안 촬영하면 센서의 전기적인 성질로 인 ... ...
- [과학뉴스] 긴장할 때 숨을 빨리 쉬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주장했다.연구팀은 뇌전증 환자를 연구하던 중 호흡의 속도와 함께 뇌의 전기적 신호가 달라지는 것에 주목했다. 환자들이 숨을 내뱉을 때보다 들이마실 때 변연계와 해마, 편도체 등이 더 활성화됐으며, 특히 코로 숨을 쉴 때 두드러졌다. 변연계와 해마는 단기기억, 편도체는 두려움을 관장하는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전자의수가 연결된 신경 말단에 마이크로 전극을 부착한 다음, 다양한 형태의 전기 신호를 뇌에 흘려 보내 착용자가 어떤 감각을 느끼는지를 일일이 기록하며 연구하고 있다. 150년 전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할 때 필라멘트의 재료로 수천 가지의 물질을 시험했다는 일화가 연상되는 우직한 방법이다.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