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은 내 머릿속, 뇌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뇌 속에 있는 신경세포 중 어떤 것은 전기 신호를 내고 어떤 것은 내지 않고 있다는 조합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이 내 감정이다. 그런데 그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기에 멀리 멀리 몇 천 미터는 떨어져 있는 하늘 위의 압력과 열을 조종할 수 있는가? 현대의 ... ...
- [과학뉴스] 플랑크톤처럼 움직이는 소형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연구팀은 로봇에 다양한 센서를 달았지요. 특히 GPS가 작동하지 않는 물속에서는 음향 신호로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었어요.얕은 바다를 탐험하는 것은 이 로봇의 가장 큰 강점이에요. 기존의 로봇은 강한 해류를 견디며 위치를 유지하기가 어려웠어요. 반면 M-AUE는 5시간의 수중 실험에서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물질의 내부보다 표면의 넓이를 상대적으로 넓혔다. 이렇게 하면 표면으로부터 더 많은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측정하는 것은 저항인데, 보통 저항을 측정하면 물질 내부의 저항이 압도적으로 크고 표면 저항은 미미하다. 그래서 두께를 줄여서 표면에서 나타나는 저항의 비중을 높게 만든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밥을 먹거나 다른 아이에게 젖을 먹이는 등 다른 일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하필 그 신호가 노래의 형태를 취하는 이유에 대해서 연구팀은 “노래의 멜로디와 리듬, 음색을 바꾸거나 손동작을 추가해서 유아의 주의를 더 잘 환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아쉽게도, 음악의 기원 이론을 ... ...
- [과학뉴스]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 지점에 마이크로파를 쐈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에 있는 지름 100m 안테나로 돌아온 신호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찬드라얀 1호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실험은 약 세 달간 7번 이상 성공했다. 푸에르토리코에 설치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으로 추가 관측한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것처럼, 식물에 상처를 내지 않고 내부의 생리적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이라며 “진단 신호가 되는 이미지 정보를 데이터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일생동안 식물이 필요로 하는 생육환경을 원활하게 제공할 것”라고 말했다.연구팀은 일 차 대상 식물로 애기장대를 선정했고, 이미지 정보를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집단적 상태로 재조직된다. 운동장에 수천 명의 학생이 마구잡이로 뛰어 놀다가, 어떤 신호를 받는 순간 갑자기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친구와 팔을 걸고 빙글빙글 돌기 시작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또 다른 친구가 가까이 오면 이번엔 그 친구와 팔을 걸고 빙글빙글 돈다. 운동장에 있는 수천 명의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인공위성이 사방으로 신호를 보내면 그중 일부가 스마트폰의 수신기에 들어간다. 신호가 이동한 시간에 빛의속도 초속 30만km를 곱하면 수신기까지 거리 r1을 알 수 있다. 인공위성에서 r1만큼 떨어진 점을 모두 이으면 오른쪽 그림처럼 구 모양이 된다.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두 개의 인공위성에서 ... ...
- [과학뉴스] 한반도까지 날아온 아프리카 화산재 첫 관측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레이다(라이다)를 이용해 2011년 한반도 상공의 성층권을 관측하던 중 6월 19일 이상 신호를 포착했다.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대기의 흐름을 역추적하고 위성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6월 12일 아프리카 에리트리아에서 폭발한 나브로 화산의 화산재가 우리나라까지 날아온 것을 확인했다. 이후 6개월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이라는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교수가 세계 최초로 뇌에서 분리·정제해 분자 특성을 밝혔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신질환을 일으키는지 여부와 기작은 규명되지 않았다.연구팀은 PLCγ1이 결핍된 유전자 조작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