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책을 쓴 이강영 건국대 물리학부 연구교수는 “물리학자들이 예상하던 범위라 뜻밖의
결과
는 아니다”라며 “올해부터 에너지를 더 높여 자료를 쌓으면 1~2년 안에 힉스를 찾을 수 있다고 예상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박성찬 교수도 “예상했던 범위 안에서 어디가 확률이 높은지 더 정확하게 알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비슷하게 만드는 동시에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낮은 중력에 적합한 작물을 만들었다. 그
결과
우리는 수백 명을 부양할 수 있는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 아직은 온도와 기압, 빛을 지구와 비슷하게 만든 돔 안에서지만, 앞으로는 돔 바깥의 화성에서도 자라는 식물을 만들 계획이다.산업 혁명을 ... ...
곤충 껍질만큼 가볍고 단단한 플라스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쉬릴크는 스스로 분해되기 때문에 쓰레기봉투나 기저귀를 만들 때 특히 유용하다. 연구
결과
는 과학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2월 13일자에 실렸다 ... ...
우주에는 ‘해왕성’이 가장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지구 주위를 돌며 최근까지 외계 행성들을 관찰해 발표한
결과
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확인한 외부 항성계 행성의 개수는 현재까지 2326개다. 이 중 지구 크기의 행성이 207개, 목성 만한 행성이 203개, 목성보다 큰 행성이 55개,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 작은 행성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조건에 따라 다른 생장 모습을 보여주는 4개의 화분과 학습 내용,
결과
를 보여주는 창이 한 눈에 보인다. 웹 기반의 프로그램이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면 언제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다.김 교수는 “생물 교과는 실험과 실습이 중요한데 학교에서는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무너지고 있어요.”특히 가을에 꽃을 피워 열매를 맺는 식물이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그
결과
생태계 건전성의 지표인 생물다양성, 유전자다양성이 감소한다. 강 교수가 조사한 양재천의 경우 2005년 429종이던 초본식물이 불과 5년 뒤인 2010년에는 318종으로 줄어들었다. 사실 문제는 가시박 뿐만이 ... ...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래서 육식공룡 또한 깃털이 달렸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우리는 이런 최신 연구
결과
를 반영해 벨로시랩터의 모습을 깃털 공룡으로 바꿔 놓았다.우리 학명을 가진 공룡들전편 ‘한반도의 공룡’을 통해 우리나라의 토종공룡인 부경고사우루스와 해남이크누스가 소개되었다. 이들은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보는 것 같았어요. 가령 엔탈피 문제가 나온 화학은 그냥 엔탈피만 푸는 것이 아니라 그
결과
를 이용해 연료에 따른 에너지 효율을 이야기한 친구가 칭찬을 받았다고 해요.” KAIST로 향하는 발걸음 현종 군은 8월에 일찌감치 합격한 후 10월에는 학교장 추천 전형 예비신입생 1박 2일 워크숍에도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스완슨은 하룻만에 6600만 달러(약 750억 원)의 갑부가 됐다. 생명과학자로서 자신의 연구
결과
를 바탕으로 이런 거부가 된 건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보이어 교수는 유전공학의 선구자로 1981년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3월 9일자)의 표지를 장식했다. 그럼에도 재조합DNA 기술을 개발한 보이어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러나 직접 확인하는 것도 과학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독자 여러분도 연구
결과
에 대한 답을 다른 글을 통해 찾았다고 실망하지 마십시오. 실험을 통해 다시 직접 확인하는 것도 연구활동입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조작변인을 찾아 새로운 연구를 해 봅시다.밤늦게까지 실험을 하고 ... ...
이전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