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수학동아 l2012년 02호
- 이용하면 영화관에서만 볼 수 있던 3차원 입체영상을 휴대전화로도 즐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부피가 큰 특수 카메라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던 입체영상을 작은 휴대전화 속에 넣은 비결이 뭘까?연구팀은 먼저 기존의 입체영상 촬영 기법을 자세히 분석했다. 이 기술은 ‘깊이’ 정보를 ... ...
- 인터넷 무게는 소금 알갱이 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사람들이 인터넷을 쓰기 시작한 지 30년도 안 됐지만 이제는 없어서 안 될 정도예요. 그런데 인터넷에 관한 재미난 연구가 나왔어요. 인터넷을 무게로 따져 보면 얼 ... 쓰이고, 인터넷 데이터가 500만 테라바이트(1TB=${2}^{40}$B)라고 가정해 계산했어요. 그 결과 딸기 하나의 무게인 50g 정도가 ... ...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관측위성 ‘스위프트’가 활동하면서 놀라운 관측 결과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초기 우주의 모습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또 감마선폭발을 일으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속속 제안되고 있다. 한편 올해 6월에는 한국 천문학자들이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유포 패스파인더’라는 새로운 ...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천문학 난제를 풀기 위한 도구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다이어리는 약 3만 개로 증정된 다이어리의 10분의 1밖에 되지 않았다. 무엇이 이런 결과를 낳았을까. 행동모델 이론을 대입하면 이렇다. 이벤트 기간 동안 커피 한잔만 먹어도 제공받는 이벤트 쿠폰 한 장은 단순한 도화선 역할을 한다. 페이스북의 ‘당신이 알고 있는 사람을 찾아보라’와 같은 ... ...
- 날아가는 빛도 찍는 초고속 카메라과학동아 l2012년 02호
- 12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1초에 무려 1조 프레임을 찍을 수 있다는 초고속 카메라, 펨토 포토그래피다. 1초에 수만 프레임이면 날아가는 총알을 찍을 수 있는데, 이 카메라는 날아가는 빛까지 찍을 수 있다.펨토 포토그래피는 티타늄-사파이어 ...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과학동아 l2012년 02호
- 보낸 까닭도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다. 위원회는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정말 공익 목적으로 사용할 학자들에게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과학자와 테러리스트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현재로서는 없다.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이 기준에 대해서 미국 정부가 정확한 ...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이상 우라늄-238을 핵분열시킬 수 없다는 점이다. 이들은 고스란히 폐기물이 된다. 핵분열 결과로 만들어지는 플루토늄과 넵튬, 아메리슘, 퀴륨 등 화학독성이 강한 초우라늄 방사성 핵종들도 타지 않고 남는다.반면 토륨은 100% 연료로 이용 가능한 핵종(토륨-232)을 이용하는데다, 에너지 증폭기가 ... ...
- 원시인은 식인종?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윌리엄 아렌스 미국 스토니브룩대 인류학과 교수는 수많은 기록들을 꼼꼼히 살펴본 결과 식인종에 대한 이야기가 거의 이웃의 경쟁 부족원으로부터 나왔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즉 “우리는 그런 짓 안 하지만, 숲 저쪽에 사는 놈들은 무지막지한 식인종들이다. 나도 잡아 먹힐 뻔 했는데 용감히 ... ...
- 스펙! 차곡차곡 쌓아보자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학생은 AP(Advanced Placement)에 관심을 갖자. 대학에서 수업을 받아야 하는 UP와 달리 AP는 시험결과로 이수했다는 것을 인증받을 수 있다. AP는 미국 고등학교 학생들 중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 1학년 때에 수강하는 과목들을 고2~3 과정 때 미리 공부하고 시험을 봄으로써 학점을 딸 수 있는 시스템이다. ... ...
이전7877887897907917927937947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