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 만드는 빛을 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처음 발견한다는 것은 정말 가슴 떨리는 일입니다.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
결과
가 자신의 가설에 적중했을 때 느끼는 희열은 정말 대단하죠. 동시에 이 현상을 이용해 사람들의 생활을 도울 수 있으면 더욱 행복하겠죠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그러나 직접 확인하는 것도 과학자가 되는 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독자 여러분도 연구
결과
에 대한 답을 다른 글을 통해 찾았다고 실망하지 마십시오. 실험을 통해 다시 직접 확인하는 것도 연구활동입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조작변인을 찾아 새로운 연구를 해 봅시다.밤늦게까지 실험을 하고 ... ...
산타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행기의 이륙과 착륙 횟수를 기준으로 측정했습니다. 조사
결과
, 목적지까지 자동차를 타고 갈 때 사고가 나서 죽을 확률이 비행기보다 65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게다가 비행기 사고가 매년 줄고 있어요. 국제민간항공운송협회(IATA)가 발표한 2010년 민간 항공기 ... ...
모기도 장거리 여행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찾아평소보다 훨씬 더 멀리 날아간대요.네덜란드의 과학자 페이트 베르돈쇼트가 연구한
결과
굶주린 암컷 모기들은 피를 빨 대상을 찾아 최소한 150미터 이상을 날아간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이 거리는 지금까지 알려진 거리보다 세 배나 먼 거리예요. 암컷 모기는 해질 무렵이나 새벽에 한 시간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3호
식물보다는 잔뿌리가 많은 식물이 적당하다고 해. 농촌진흥청 김광진 박사팀의 연구
결과
를 보면, 잎보다 뿌리가 공기 중에 있는 몸에 나쁜 물질을 두 배나 더 잘 없애는 것으로 밝혀졌단다. 올겨울 우리집 가습기는 이식물! 1위 장미허브장미허브는 농촌진흥청에서 약 90종의 원예식물로 실험한 ... ...
공룡도 철새처럼 이동하며 살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고지대로 이동했다가 습한 겨울에는 분지로 돌아왔다는 흔적을 발견했어요. 이 연구
결과
는 10월 26일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실렸어요. 연구팀은 사우로포드가 1억 5000만 년 전인 쥐라기 후기에 살았는데, 이들은 5~6개월 동안 300㎞를 이동해 고지대로 올라 갔다가 다시 분지로 돌아와 생활했다고 ... ...
제5대 국새의 다섯 가지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더 만들어서 잘랐답니다. 국새 내부에 금이 간 곳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예요. 확인
결과
국새 내부는 금간 곳 하나 없이 매우 튼튼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5 국새가 8개라고?제5대 국새 하나를 만들기 위해 8개를 만들었다는 사실! 튼튼한 국새를 만들기 위해 일곱 번이나 모형을 ... ...
암석간 마찰이 지진 일으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여러 암석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머리카락 굵기 10분의 1에 불과한 10㎛(마이크로미터)의 미세한 접촉만으로도 접촉점의 온도가 1800℃까지 올라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이는 암석 대부분이 녹을 만큼 뜨거운 온도지요. 게다가 이렇게 ... ...
비상! 화산재로 뒤덮인 캄차카 반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뜨겁게 달궈진 돌무더기가 굴러 떨어질 정도로 크고 작은 활동이 계속되고 있어요.그
결과
화산재 기둥이 1만 500m 상공까지 치솟고, 화산재 구름이 넓게 퍼져 근처를 지나는 비행기에 치명적인 위협을 주고 있어요. 화산재가 비행기 엔진으로 들어가면, 동력이 끊어져 끔찍한 사고가 날 수도 ... ...
개구리를 빨아먹는 킬러 애벌레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0호
우리의 이 기막힌 행동에 대해 알아내고는 무려 382번이나 관찰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70%에 달하는 애벌레들이 더듬이와 턱을 움직이며 개구리와 두꺼비를 유혹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지요. 유혹에 걸린 개구리와 두꺼비들이 애벌레에게 접근해 스스로 먹이가 된다는 거죠.스스로 개구리를 ... ...
이전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