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인 소변으로 전기 만든다고?
과학동아
l
2014.04.13
‘스페이스쉽투(SpaceshipTwo)’, ‘링스(Lynx)’. 일반인도 자유롭게 우주여행을 갈 수 있는 민간 우주선의 이름이다. 현재 개발중인 ... 하수라면 모두 전기를 만드는 데 재활용할 수 있다”며 “UBE는 질소오염원도 줄이고 더불어
전류
도 얻을 수 있는 기술”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고온 초전도체, 언제쯤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04.09
흐르기 위해선 두 개의 전자가 양이온의 원자들이 단체로 요동하는 포논과 쌍을 이뤄
전류
를 운반해야 한다는 BCS(바딘-쿠퍼-슈리퍼)이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같은 성과 덕분에 초전도현상을 나타내는 초전도체는 현재 자기부상열차, 자기공명영상(MRI)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요긴하게 쓰이고 ... ...
원자 속 ‘전자’ 샅샅이 보는 토종 ‘눈’
과학동아
l
2014.04.02
하고, 진동이 조금도 없는 연구 환경을 만들어야 해 제약이 많았다. 전기를 흘려 넣어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어서 제대로 된 전자의 모습이 아니라 다소 왜곡된 형태의 영상을 보고 전자의 모습을 추측하는 방식이었다. KAIST-표준연 공동연구팀은 원자 속 전자의 공간적 분포 상태를 ... ...
소리로 스마트폰 충전한다고?
과학동아
l
2014.03.25
김 교수는 “소리 진동을 이용한 마찰전기 생성은 현재 전압은 충분하지만
전류
가 수십 밀리암페어(mA)에 그쳐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그러나 불과 1년 전까지만 해도 마이크로암페어(μA) 수준이었던 만큼 꾸준한 연구와 소자 개발로 금세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5
배터리 두께는 100마이크로미터(1μm=100) 정도로 2.4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미세
전류
가 필요한 체내 의료 장비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로저스 교수는 체내 이식형 배터리 전문가로 지난 1월에도 인체이식형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 심장박동기를 비롯한 영구 이식이 필요한 ... ...
좀 더 깨끗하고 선명하게...화질 전쟁 뒤에 숨은 수학
수학동아
l
2014.03.14
수 있어야 한다.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진단 장비들은 대부분 인체에 무해한 정도의 약한
전류
를 흘리는데, 문제는 인체에서 나오는 신호의 크기도 작아진다는 것. 이렇게 되면 의료장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잡음과 인체 신호의 크기가 비슷해 신호를 영상으로 표현할 경우 판독이 쉽지 않게 된다. ... ...
수면장애 치료해주는 전등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12
형광체를 조합해 백색을 내는 발광다이오드를 개발했다. 각각의 형광체로 흐르는
전류
량을 조절해 다이오드가 내는 빛의 색을 서서히 바꾸며 낮에는 차가운 백색을 내도록 하고, 저녁에는 따뜻한 백색을 내도록 함으로써, 햇빛과 유사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교수는 “백색 ... ...
그래핀 '스스로' 쑥쑥 큰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평면에 배열된 물질로, 투명하고 유연할 뿐 아니라 실리콘보다 100배가량 빠르게
전류
를 통과시켜 ‘꿈의 소재’로 불린다. 문제는 구리판 위에서 그래핀을 성장시킨 후 원하는 기판으로 옮기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것. 메타크릴 수지(PMMA)로 그래핀을 코팅해 구리를 녹인 뒤 다시 PMMA를 ... ...
국내 기술로 우주기상 관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7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자력계’, 위성 궤도 주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위성 내부
전류
변화를 감시하는 ‘위성대전감시기’ 세 가지 센서로 구성된다. 한편 기상청은 미국해양대기청(NOAA) 및 미국항공우주국(NASA)와 향후 우주기상 관측과 활용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2월 수상자 포스텍 이종람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5
웨어러블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는 금속기판은 얇게 펴는 과정에서 표면이 거칠어져
전류
가 누설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 교수는 유리 위에 금속기판을 놓고 원자결합력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를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에서 1nm까지 낮추는 데 성공했다. 차세대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